아이폰6 대란, 10만원의 비밀은?…‘언락폰’과 큰 차이 없어 “방통위 강력 경고 효과 있을까”

입력 2014-11-03 09: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아이폰6 대란, 방통위 강력 경고

▲사진 = 인터넷 커뮤니티

애플이 국내에서 아이폰6를 출시한지 이틀 만에 아이폰6 가격이 10만원대로 떨어지는 등 ‘아이폰6 대란’이 발생했다. 이에 아이폰6 가격이 폭락할 수 있었던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각 통신사는 1일 오후부터 2일 새벽 사이 대량의 보조금은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에 지급, 복잡한 판매구조를 형성했다. 통신사의 주도 하에 ‘아이폰6 대란’ 기간 아이폰6 가격은 16GB 기준 현금 완납이나 할부원금의 경우 10만원에서 20만원까지 존재했다.

통신사가 만든 복잡한 판매구조는 다양한 위약 조건과 판매 형태, 지급 방식 등이 혼합돼 ‘플랜’이라는 이름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여기에는 일반 소비자가 모르는 숨겨진 비용들이 많다.

일단 눈에 보이는 조건은 10만원~20만원이지만, 실제로는 위약 조건을 복잡하게 만들고 할부 이자 등을 교묘하게 추가, 결과적으로는 언락폰을 구매하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 특히, 통신사에서 정식으로 구매할 경우 최대 보조금이 적용돼 아이폰6를 4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는 것을 감안하면, ‘아이폰6 대란’ 당시 아이폰6의 가격은 판매 대리점의 눈속임일 수도 있다는 지적이 팽배하다.

페이백 형태와 현금으로 완납하는 형태 등 판매 형태 또한 판매대리점에 의해 다양화돼 휴대폰 구매 관련 전문 커뮤니티의 유저들 조차 아이폰6의 변동 가격에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아이폰6 대란을 주도한 일부 판매점에 과태료나 과징금을 부과한다고 밝히자, 판매점들은 이미 지급한 아이폰6를 개통 취소하거나 기기를 회수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혼란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이폰6 대란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아이폰6 대란, 방통위 강력 경고 효과 있을까 과연”, “아이폰6 대란, 방통위 강력 경고 필요 없지. 아이폰6 대란은 또 일어난다”, “아이폰6 대란, 방통위 강력 경고, 호갱님이 또 늘었네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아이폰6 대란, 방통위 강력 경고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