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실현 위해 부서간 칸막이 낮춘다

입력 2014-10-28 14: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래부, 임무 중심의 ‘문제해결 융합 TF’ 11개 구성ㆍ운영

미래창조과학부가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서 간 경계를 허문다.

미래부는 '과학기술ㆍ(정보통신기술)ICT 핵심 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내부 역량을 집결한 ‘문제해결 융합 TF’를 구성ㆍ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TF는 1ㆍ2차관실의 경계를 넘어 임무중심의 11개로 구성된다. 연말까지 한시적인 운영을 원칙으로 하되 그 이후에는 임무 달성 여부에 따라 해체 및 정규 조직화 여부가 결정된다.

미래부는 우선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 조직을 꾸렸다. 각종 공모전 등을 통해 선별된 우수 창업기업에 대해 기존 사업화 및 해외 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가칭) Going Global 벤처 육성 트랙’을 연말까지 구축한다.

또 중소기업 기술지원 역량을 결집, 단일 창구화 해 중소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지원하는 ‘(가칭) 기업공감 원스톱 서비스’ 운영방안을 연내 수립할 계획이다.

연구개발 활동에 수반되는 연구 성과, 시설, 인력 등을 활용해 연내에 새로운 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가칭)연구산업육성방안’도 구상할 방침이다.

미래 성장을 위한 전략도 마련됐다. 우선 산ㆍ학ㆍ연 등 외부 전문가 중심으로 미래사회 전망을 통해 핵심 이슈를 발굴, 이슈별 미래전략을 검토하고, 빅데이터 기반 미래전략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5G 이동통신, 스마트 자동차, 지능형 로봇, 착용형 스마트 기기, 융복합 소재 등 13개 분야의 미래성장동력 성과물 구체화와 신규사업 발굴을 위해 내년 초까지 ‘(가칭)미래성장동력 발전전략’을 마련한다.

아울러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역 혁신의 구심점이 되도록 기존 지역사업과의 구체적 연계방안을 고민하고 여성 과학기술인들이 겪는 차별적 애로사항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포함한 미래인재양성 전략도 검토 중이다.

이외에도 미래부는 △미래부 및 산화기관 국제협력 시스템 △미래부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창조경제ㆍ문화융성 시너지 창출 지원책 △인터넷 경제 활성화 전략 △국가 R&D 혁신방안 등도 수립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TF 운영을 위해 실국별 발표로 진행되던 장관 주재 간부회의를 TF별 추진현황 공유 및 애로사항 해소 중심으로 변경 운영한다.

또 주관 부서에 대한 정원 우선 배정과 부서평가 가점 부여 등 인센티브도 지원할 계획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문제해결 융합 TF는 창조경제 활성화와 과학기술ㆍICT 혁신 등 미래부 당면 과제를 속도감 있게 처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미래부내 조직 융합을 위해서도 매우 의미 있는 시도로 가시적 성과 창출과 조직 혁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