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슈
포커스
뉴스
이슈
포커스
김남현 부장
정치경제부
kimnh21c@etoday.co.kr
구독하기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 채권 외환시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세 자녀의 아빠로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가는 세상은 더 행복하고 더 부유해지길 소망합니다.
구독되었습니다
구독 현황은
마이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구독되었습니다
기자의 최신 뉴스를 매일 아침,
메일로 배달해 드릴까요?
신청하기
기자 주요뉴스
한은 “국고채 단순매입 정해진 것 없지만 시장상황 따라 탄력적”
“한은 기대 높아진 것도 알고 있어..상반기 5~7조면 충분” “(발행시기) 추경 통과와 연동할 생각은 없어” “국고채 단순매입과 관련한 일정은 아직 정해진게 없다. 다만 시장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5일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투데이와의 전화통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국고10년물이 2%를 넘어가면서 한은에 대한 시장기대감이 높아진 것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은은 올 상반기중 5조원에서 7조원의 국고채 단순매입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이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부족하다고 보지
파월 실망…채권 베어스팁, 10년물 2% 돌파 ‘2년만 최고’
10-3년 금리차 96bp 10년2개월만 최대 한은 국고채 단순매입 기대감도..큰 흐름 바뀌기 어려워 채권시장이 약세흐름을 기록 중이다. 특히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를 돌파하며 2년만에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단기물보단 장기물이 더 약해 일드커브 역시 스티프닝되고 있다. 관심을 모았던 제롬 파월 미국 연준(Fed) 의장 연설이 원론적으로 끝난 것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망감에 밤사이 미국채 10년물 금리도 1.56%대로 올라 1년1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은행이 국고채 단순매입으로 진화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도 확산하
파월 실망감…원·달러 환율 1130원 돌파 4개월만 최고
미국채 금리상승+외국인 주식시장 이탈..코스피 3000 붕괴 1130원대에선 네고..상승속도 줄어들 것, 1135원 내지 1140원까지 열어둬야 원·달러 환율이 1130원을 돌파하며 4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중이다. 관심을 모았던 제롬 파월 미국 연준(Fed) 의장 연설이 실망감을 안겨줬기 때문이다. 원론적 발언에 그침에 따라 밤사이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1.56%대로 올라서며 1년1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고, 뉴욕증시도 급락했다. 국내 주식시장 역시 1.5%대 급락세를 보이면서 부진한 흐름이다. 코스피는 3000선이 무너졌다.
원·달러 NDF 1130.3/1130.8, 5.4원 상승..파월 실망감
역외환율은 사흘째 상승했다. 관심을 모았던 제롬 파월 미국 연준(Fed) 의장 연설에서 별다른 내용이 없었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 최근 금리 급등에 대한 대응도 없었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1.5623%를 보이며 1년1개월만에 최고치를 보였고, 뉴욕 3대 증시도 1~2% 가량 급락했다. 달러화 지수 역시 상승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30.3/1130.8에 최종 호가되며 거래를 마쳤다. 이는 최근 1개월물 스왑포인트 +0.05원(서울외환
[채권마감] 미 금리급등에 베어스팁, 10년물 2% 목전 2년만 최고
10-5년 금리차 10년9개월만·3년-기준금리차 2년5개월만 최대 외인 선물매도 vs 현물매수에 장중 약세 되돌림 가벼운 포지션에 저가매수+파월 연설 앞둔 숏커버+장종료후 한은 단순매입 루머 상반기까진 보수적 관점이나 추가 약세 제한될 듯 채권시장은 강세 하룻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다만, 장중 약세폭을 상당폭 되돌리는 모습이었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를 목전에 두면서 2년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장기물이 상대적으로 약해 일드커브 역시 스티프닝됐다. 특히, 국고채 10년물과 5년물간 금리차는 10년9개월만에, 국고채 3년물과
[환율마감] 원·달러 연중 최고, 미 금리 상승+코스피 급락
외은 매도+장후반 위안화 강세에 상승폭 축소 미 금리상승 우려에 달러화 강세+주가 약세, 상단 열어놔야 파월 의장 연설 주목, 내일은 1120원대 등락할 듯 원·달러 환율이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오후장들어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이었다. 미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우려감이 확산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코스피가 1% 넘게 급락하는 등 약세를 면치 못했다. 외국인도 코스피시장에서 이틀연속 매도에 나섰다. 반면, 외국계은행을 중심으로 달러매도가 계속됐다. 위안화가 오후장들어 강세전환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1
한은 RP매각으로 시중유동성 18조 흡수 ‘7개월만 최고’
지난달말 자금 여유있게 가져가면서 RP매각 적게 했던 탓 10일 지준마감일 앞두고 적수 쌓여 지준 조절한 것 국고2년물 발행 불구 일상적 유동성조절 무리 없어..통안3년물 발행도 준비중 한국은행이 4일 환매조건부채권(RP) 매각으로 시중유동성을 18조원이나 흡수했다. 지난해 8월6일(18조원) 이래 7개월만에 가장 큰 규모다. 이는 10일 지급준비금 마감일(지준일)을 앞두고 적수가 쌓임에 따라 지준을 조절한 것이란게 한은측 설명이다. 적수란 시중은행이 지급준비율을 기준으로 매일 중앙은행인 한은에 지급준비금을 넣고 빼는 과정에서 남
[종합] 코로나19에도 선방, 1인당 국민총소득 3만달러·명목GDP 플러스 유지
실질GDP 1.0% 감소, 외환위기 이후 처음..과거 위기시보단 나아 교역조건 개선에 GDP디플레이터 플러스 전환, 우리경제 긍정적 K방역의 역설, 올 성장률 주요국 대비 뒤쳐질 수 있어..취약층·기업 지원 나서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우리 경제가 비교적 선방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4년연속 3만달러선을 방어했고, 명목 국내총생산(GDP)도 플러스를 유지했다. 총체적 물가수준을 의미하는 GDP디플레이터 또한 1년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교역조건이 개선된 때문이지만, 기업채산성과 소비와 투
원·달러 환율 연고점 경신후 상승폭 축소
미금리 상승 vs 견조한 주식시장+네고물량 주식시장 주목 속 1125원 플러스 마이너스 3원 흐름될 듯 원·달러 환율이 장중 연고점을 경신했다. 다만 이후 상승폭을 줄이는 모습이다. 밤사이 미국채 금리가 상승한 것이 불안감을 자극했다. 반면, 주식시장에서 코스피가 생각보다 견조한데다, 고점인식에 네고(달러매도) 물량이 쏟아지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호주달러 등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주식시장이 생각보다 견조한데다 어제부터 물량이 지그시 누르는 느낌이라고 전했다. 제롬 파월 미국
속보
한은 “1인당 국민총소득 이탈리아 넘었는지는 국제기구 발표 봐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이탈리아를 넘어섰는지는 국제통화기금(IMF)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B) 등 국제기구의 발표를 봐야 알 것이다.” 4일 신승철 한국은행 국민계정부장은 ‘2020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 잠정’ 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이탈리아는 유로화기준으로 발표하면서 직접 비교하긴 곤란하다. 국가간 동일한 환율을 적용해야하기 때문이다. 국제기구가 조만간 발표할 것으로 보여 그때 정확히 알 수 있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의 1인당 GNI가 주요 선진7개국(G7) 중 하나인 이탈리
뉴스
증권·금융
시세
기업
부동산
정치·경제
사회
이슈
찬반투표
설문조사
와글와글
뉴스발전소
포커스
특별기획
오피니언
Channel5
Money10
위너스클럽
운세
페이스북
포스트
블로그
유튜브
브라보마이라이프
바이오스펙테이터
공지사항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