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유가가 15일(현지시간) 미국과 이란이 곧 핵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1.53달러(2.42%) 떨어진 배럴당 61.6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런던ICE거래소의 브렌트유 7월물 가격은 전장보다 1.56달러(2.36%) 하락한 배럴당 64.53달러에 마감했다.
중동 순방중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카타르 도하에서 연설을 하면서 “미국과 이란은 장기적인 평화를 위해 매우 진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협상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란 최고지도자의 고위 보좌관도 NBC방송에 경제 제재 해제를 대가로 특정 조건을 갖춘 핵 협상에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한 직후에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까지 이어지면서 기대감이 극대화됐다.
타마스 바르가 PVM 애널리스트는 “밤사이 타결 가능성이 제기된 핵 합의가 유가 급락의 유일한 원인”이라며 “합의 가능성이 커 보이지는 않지만 만약 합의가 이뤄진다면 이란은 하루 최대 100만 배럴의 원유를 수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란의 원유 수출 증가가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기타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가 원유 공급 확대 계획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OPEC+는 최근 몇 달간 원유 공급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이달 초에도 사우디아라비아 주도로 하루 41만1000배럴의 증산을 결정했다.
이란 경제는 2018년 미국이 핵 합의에서 탈퇴한 이후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CNBC는 짚었다. 대규모 시위와 통화 가치 폭락과 물가 급등에 더해 중동 내 주요 우방인 시리아 아사드 정권 붕괴와 헤즈볼라 고위 지도부 암살로 외교적 고립도 심화됐다.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이에 과거 미국과의 협상에 반대 입장이었으나 정부 고위 인사들의 설득 끝에 입장을 전환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