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들 엇갈린 에너지 공약…재생에너지·원전株 희비 갈릴듯


제21대 대선 후보 10대 공약 제출
與 원전 vs 野 재생에너지?방향 ‘극과 극’
전문가 “예상 시나리오 체크해 수혜주 선별”

(오픈AI 달리)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공개됐다. 대선 전 발표되는 공약은 정책 방향에 따른 향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바로미터 역할을 하므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이번 공약에서는 여당과 야당의 에너지 정책 방향이 엇갈린 가운데, 전문가들은 당선 가능성과 실제 정책이 끼칠 영향을 함께 고려해 투자에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12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에너지 정책을 포함한 10대 공약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했다.

이번에 발표된 공약에서 여야는 에너지 정책을 두고 상반된 태도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김 후보는 원자력 발전에,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원전 관련주는 최근 제동이 걸리긴 했지만,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체코와 약 26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며 핫한 테마로 떠오른 바 있어서 더욱 이목이 쏠린다.

후보별 공약을 살펴보면, 김 후보는 두 번째 공약에서 에너지 정책을 언급했다. 구체적으로는 건설 혹은 계획 중인 대형 원전 6기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 한국형 소형원전(SMR) 상용화 추진 및 원전 비중 확대로 안정적 전력원을 확보하겠다고 공약했다. 인공지능(AI) 산업의 필수 인프라인 전력의 안정적 확보를 천명했지만,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방안은 빠져있었다.

반면, 이 후보는 에너지 정책을 가장 마지막 순번에 제시했으며,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목표했다.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 폐쇄, 농가태양광 설치로 주민소득 증대 및 에너지 자립 실현 등을 실천 방안으로 내세웠다. 분산형 재생에너지 발전원을 효율적으로 연결·운영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지만, 원전 관련 언급은 없었다.

NH투자증권은 양당 모두 재생에너지 확대에는 동의했지만, 방향이 달랐다고 설명했다. 대선 공약이 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을 때, 재생에너지 확대 공약은 추후 풍력과 태양광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보이지만 원전 정책에서는 정당 간 입장 차이에 따라 관련 종목들의 차별화된 주가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편,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공약에는 에너지 정책이 빠져있었다. 정당마다 에너지 정책의 기조가 다른 가운데, 전문가는 정당별로 당선 시나리오를 따져보고 수혜주를 선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이재명 후보가 당선될 경우 재생에너지 중심 산업이 주목받게 될 것이며, 풍력과 태양광 관련 종목이 수혜를 볼 수 있다”라며 “풍력 종목 중에서는 관련 국내 시장이 확대되면서 그동안 해외 수출에 주력했던 SK오션플랜트가 이익을 볼 수 있으며, 태양광 종목 중에서는 한화솔루션을 최선호주(Top Pick?최선호주)로 꼽는다”라고 전했다.

이어 “원전은 김문수 후보가 당선돼야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은 원전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기 때문에, 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원전 산업은 국내에서 여러 제약에 직면할 수 있다”라며 “결국 해외 수주를 기대해야 하는데, 대형 원전 기술을 보유한 웨스팅하우스의 행보나 SMR을 개발 중인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성과 등 다양한 변수가 남아 있다”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