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1분기 실적 '호조'…2분기는 '해킹' 충격파 전망

1분기 영업익 5674억⋯전년比 13.8%↑
AI 데이터센터·AI B2B 부문 수익성 개선
“번호이동·신규 모집 재개로 재무 영향 불가피”

▲12일 SKT는 올해 1분기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자료제공=SK텔레콤)

유심 서버 해킹 사고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SK텔레콤이 올해 1분기 견조한 실적 성적표를 내놨다. 특히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 및 AI 기업 간 거래(B2B) 사업 수익성이 개선됐다. 다만, 2분기 실적에는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재무적 악영향이 반영될 전망이다.

12일 SKT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 5674억 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8% 증가한 수준이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한 4조 4537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 사업의 매출액은 데이터센터 용량 및 가동률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오른 102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인공지능전환(AIX) 부문은 AI 클라우드 등 수요 증가로 452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2% 늘어난 수치다.

SKT 퍼스널 에이전트 서비스(PAA) '에이닷(A.)'의 누적 가입자는 900만 명을 돌파했다. 기업 업무용 PAA인 '에이닷 비즈(A. Biz)'는 베타 테스트를 거쳐 이르면 상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김양섭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 사고로 인해 재무실적에 일정 부분 부정적(negative) 영향이 불가피하다"면서도 "고객 보호 부문에 필요한 자원을 적기에 투입해 시장을 안정시키고 고객 신뢰를 빨리 회복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추가적인 손해를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김 CFO는 "유심 교체 비용은 2400만 명 모든 고객이 유심을 교체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관련 재무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매출 쪽에서는 번호 이동이나 신규 모집 중단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향후 번호 이동의 추이와 신규 모집 재개 시점 등에 따라 가변적이다"라고 했다. 이어 그는 "현시점에선 (이번 사고로 인한 재무적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량화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덧붙였다.

신규 모집 재개 시점에 대해선 정부 부처와 논의할 예정이라고 했다. 윤재웅 마케팅전략본부장은 "신규 모집이 재개되는 시점은 아직 결정되진 않았는데 이 조치의 취지 자체가 유심 물량 부족 상황을 호전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유심보호서비스가 100% 가입됐고 오늘부터 로밍 고객까지 이용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됐다. 5월 중순 이후 유심 공급이 안정화됨에 따라 교체 수요가 원활히 처리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S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행정지도에 따라 5월 5일부터 신규 가입자 모집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있다.

또한, SKT는 이번 사고로 번호이동 등 가입자 유출이 평상시보다 증가했다고 밝혔다. 윤재웅 마케팅전략본부장은 "이번 해킹 사고 초반 유심 교체나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몰려들면서 일부 혼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이 과정에서 타사로 번호이동을 한 고객 수가 평상시보다는 많이 증가했다"며 "고객 베이스가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고 중장기 수익 창출의 근간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비용 소요가 불가피하다"고 했다.

김 CFO는 "부정적 영향의 수준은 번호이동의 추이와 신규 모집 재개 시점 등에 따라 가변적이다"라며 "과징금 같은 잠재적 비용 등도 현재 진행 중인 과기정통부 민관합동조사단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조사 결과 등에 따라 비용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