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요소 수출 제한…정부 "차량용 수급 영향 제한적, 대체수입선 확보"

입력 2024-06-18 14:37수정 2024-06-18 14: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베트남·중동 등 3국산 요소 수입 중…中 비중 13%

▲중국이 비료용 요소 수출 증가에 따른 자국 공급량 보장을 위해 수출 물량을 축소한다는 방침을 내놓으면서 '제2의 요소수 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요소수가 진열돼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정부는 이달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와 관련해 "국내 차량용 요소 수급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18일 밝혔다. 중국은 작년 말 중단한 요소 수출을 올해 4월 중순부터 재개했지만, 재개 시점부터 요소 가격이 급등하자 다시 제동을 걸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이미 우리나라가 베트남 등 요소 대체수입선을 확보, 중국산 요소 비중이 10%대에 불과한 만큼 파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중국에서 요소의 수출 통관이 지연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난 7일 인지하고 관계부처 및 요소 관련 기업이 참가하는 합동 점검회의를 개최해 관련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2021년 10월과 2023년 11월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 이후 우리 기업이 베트남·중동 등 대체수입선을 이미 확보해 충분한 물량을 도입 중에 있고, 올해 1~5월 중국산 요소 수입 비중도 낮아 중국의 수출 제한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하다는 것이 기재부의 설명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산업용·차량용 요소수입 비중은 베트남 63%, 중국 13%, 카타르 12% 등이다. 또한 현재 기업 및 공공비축 등을 합쳐 3개월분 이상의 차량용 요소가 확보된 점 등을 고려하면 이번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에 따른 국내 영향도 미미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내 차량용 요소수 수급 상황 및 제3국 요소 수입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정국 정부와 원활한 요소 도입 방안을 협의하는 등 요소 수입 및 유통 등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