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석유 잭폿'보다 '원전 잭폿'…로또보다 성과급

입력 2024-06-17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노승길 정치경제부 기자)

지난 2주간 대한민국을 뒤흔든 키워드는 단연 '석유 잭폿'이다.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정브리핑을 열고 직접 발표에 나설 정도의 무게감이다.

동해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단다. 발표에 동석한 장관의 입에서 나온 추산액은 삼성전자 시총의 5배, 약 2200조 원에 달한다.

사실이라면 한국도 자원 부국이 된다. 석유와 가스를 수출할 수도 있단다. 성공만 하면 '말 그대로 로또'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다른 의미의 '말 그대로 로또'다. 로또는 대박의 의미를 갖지만, 희박한 성공 가능성이라는 뜻도 품고 있다.

지난 2주간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에 대한 신뢰성 문제 등 수없이 많은 의혹이 제기됐고, 정치권에서는 '석유 게이트'라며 경제 이슈를 정치 이슈로 몰고 갔다.

어찌어찌 시추까지 진행해도 매장량이 예상보다 적어 오히려 마이너스 사업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이런 로또와 같은 '석유 잭폿' 이슈가 대한민국을 뒤덮고 있는 와중에 성과급과 같은 '원전 잭폿'이 진행 중이다.

다음 달이면 우리나라의 한국수력원자력과 프랑스의 전력공사(EDF)가 맞붙는 체코 원전 수주전 결과가 나온다.

체코는 두코바니에 2기, 테멜린에 2기 등 총 4기의 원전 건설을 계획 중으로 2029년 착공해 2036년 상업 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사업비는 최소 30조 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는 유럽연합(EU) 국가이기 때문에 협력과 자금 지원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고, 우리는 가격 경쟁력과 계획 기간 안에 원전을 완공하는 공기 관리 능력이 우위에 있다.

만약 한국이 수주한다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 이후 15년 만에 원전을 수출하게 되는 것은 물론, 커지는 유럽 원전 시장 진출의 교두보까지 확보하게 된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목이 터져라 외친 원전 강국 재도약의 비전이 실현되는 짜릿함도 맛볼 수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겠다는 계획으로, 체코 원전 수주 여부가 성패를 가르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

'원전 잭폿'은 성과급이다.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기 위해 정부와 한수원, 민간 기업이 원팀으로 흘리는 구슬땀의 보상이다.

결정까지 이제 한 달가량 남았다. 팀 코리아는 오늘도 수주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 노력이 성과급으로 돌아와 한국의 지갑을 채울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