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수주 ‘400억 달러’ 달성 청신호?”…올해 누적 수주액 2020년 이후 ‘최대’

입력 2024-06-12 15: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플랜트 공단 전경사진. (사진제공=GS건설)

올해 5월까지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액 규모가 202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차원의 해외 수주 지원도 이어지는 만큼 올해 정부의 해외 수주 목표인 400억 달러 달성 전망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다.

12일 해외건설협회가 발표한 ‘5월 해외건설 수주통계’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누적 수주액은 136억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수주액은 86억7000만 달러로 올해는 전년 대비 약 57.3% 급증했다. 특히 올해 수주 건수는 지난해와 같은 248건이지만, 수주액은 올해가 더 많아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 누적 수주액은 최근 5년 평균 수주액을 웃돌았다. 2019년 이후 1~5월 누적 평균 수주액은 105억7000만 달러, 수주 건수는 평균 236건으로 올해 기록은 5년 평균치를 앞선다. 올해 수주액은 2020년 1~5월 기록한 148억 달러 수주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올해 대규모 해외 수주 확대에는 중동지역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결정적인 역할을 맡았다. 해외건설협회 통계에 따르면, 중동지역의 수주액 비중은 73.2%로 99억8000만 달러 규모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중동지역 수주액 비중은 17.3%(약 15억 달러)에 그쳤던 것과 정반대다. 이어서 북미·태평양 지역 수주 비중은 전체의 11.2%로 15억2600만 달러, 아시아는 11.0%(14억9000만 달러) 순으로 뒤를 이었다.

국가별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전체 수주액의 60% 수준인 81억50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4월 삼성E&A(삼성엔지니어링)와 GS건설이 수주한 72억2000만 달러 규모 아람코(사우디 국영석유회사)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사업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밖에 지난달에는 한국서부발전이 수주한 UAE 아즈반 태양광 발전 개발사업(1억8700만 달러)과 현대엔지니어링이 진행하는 인도네시아 KT&G 생산공장 신축 공사(1억6600만 달러) 등이 수주액 기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렇듯 올해 5월까지 국내 건설업계가 해외 수주 규모를 빠르게 늘리면서 정부의 해외 수주 목표치인 400억 달러 달성 가능성도 커졌다. 특히, 정부의 해외 수주 지원사격이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다. 국토부는 스마트 시티 사업 수출 등 해외 수주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여기에 지난 10일부터 15일까지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순방 길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도 중앙아 3국 내 추가 수주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전날 현대엔지니어링은 투르크메니스탄 가스공사·화학공사와 ‘갈키니쉬 가스전 4차 탈황설비 기본합의서’와 ‘키얀리 폴리머 플랜트 정상화 2단계 협력합의서’ 등을 체결했다. 2009년에도 현대엔지니어링은 약 85억 달러 규모 갈키니쉬 가스전 탈황설비를 수주한 바 있다. 또 현지 암모니아 비료 공장 건설 사업도 국내 대형 건설사가 수주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대통령 중앙아시아 순방에 국내 건설사 경영진이 대거 동행한 것은 수주 등 계약 성과가 확실하므로 함께한 것”이라며 “기존 수주 텃밭인 중동지역뿐 아니라 중앙아시아 국가와도 장기적으로 대형 플랜트 신설 계약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 건설 수주는 주로 국내 대형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만큼 올해 대형 건설사의 수익 증대가 기대된다”며 “하반기에도 수주가 계속될 거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