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도 쉽게 사는 '뉴시니어'…은행 거래액 '큰 손' [파워시니어-금융을 바꾼다①]

입력 2024-03-25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를 맞았다. 세계적 석학으로 알려진 마우로 기옌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경영전문대학원(와튼스쿨) 교수는 저서 ‘2030 축의 전환’에서 10년 내 부와 힘의 중심이 밀레니얼 세대에서 실버세대로 이동할 것이라고 했다.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갖춘 50대 이상의 ‘뉴시니어’부터 활동력과 충분한 경제력을 가진 ‘액티브시니어’ 등 실버세대를 뜻하는 다양한 신조어는 시니어마켓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방증한다. 금융회사도 이들 시장을 위한 특화 관리에 힘을 쏟는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 고령화를 겪고 있는 만큼 미래 가장 큰 승부처 중 하나로 실버계층 자산관리(WM)가 될 이란 전망에서다. 명(明)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고령층은 금융사 점포 폐점 전략에 큰 제약(暗)으로 꼽힌다. 이에 금융권은 금융교육, 시니어 특화 점포 등 금융 소외를 막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 실버타운을 운영하거나 인생 2막을 찾는 노인들에게 재취업도 지원한다. 한국경제 소비의 큰 축으로 급부상한 파워시니어의 현 주소와 다른 한편으로 금융소외층으로 불리는 실버세대에 대한 금융사의 노력과 대응 등에 대해 알아본다.

젊은 층 비해 여유롭고 재력갖춰
소비시장 큰 축 실버세대로 이동
예금잔액 비중 전체의 절반 차지
사회 전반에서 영향력↑…유치 전략도 치열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환갑도 청춘’이라는 말이 나온 지 오래다. 과거엔 만 60세가 되면 환갑잔치를 크게 열고 축하했지만, 이젠 환갑 잔치는 찾아보기 어렵다. 가족끼리 조촐한 식사 자리를 갖거나 해외여행을 통해 기념하는 것이 흔한 풍경이다.

우리나라 평균 기대수명을 봐도 2020년 기준 83.5세에 달한다. 이에 경제력을 갖춘 은퇴 전후의 ‘뉴시니어’ 세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뉴시니어는 금융자산 1억 원 이상을 지닌 만 50~64세에 해당하는 이들을 말한다. 단순히 인생을 마무리하는 단계가 아닌 새로운 소비층으로 부상하며 ‘제2의 인생’을 도약하는 시기를 맞는다. 취업난에 시달리는 20대, 자녀양육과 주택 마련 등에 허덕이는 30~40대 대비, 시간적·경제적 여유가 많은 데다 취향도 젊어지면서 소비시장의 큰 축을 형성하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2월 말 기준 만 60세 이상 고객의 정기예금 잔액은 147조8119억 원으로, 전체(301조8783억 원·법인고객 제외)의 49.0%에 달한다. 전체 정기예금 잔액의 절반가량이 60대 이상이 차지할 정도로 높은 경제력을 자랑한다.

특히 뉴시니어 세대 기준이 되는 만 50~64세의 정기예금 잔액은 115조8895억 원으로 전체의 38.4%이자, 40대 이하(78조7955억 원)의 1.5배 수준이다. ‘2030 축의 전환’의 저자인 마우로 기옌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국제경영학 교수는 향후 10년 이내에 부와 힘의 중심이 밀레니얼 세대에서 실버 세대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60세 이상 세대는 전세계 자산의 50%를 소유하고 있고, 2030년에는 전 세계 60세 이상 인구가 35억 명에 달할 것이라고 했다.

경제력을 갖춘 만큼 이전처럼 자식들을 위해 마냥 투자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인생을 진취적으로 살고 자신에게 더 많은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수입차 시장에서 ‘큰손’으로 주목받기도 하고 수백만 원에 달하는 월세를 부담할 수 있는 소비층으로 건설업계에서도 이들을 위한 맞춤형 주거 상품을 내놓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도 뉴시니어의 금융 트렌드에 주목한다. 뉴시니어가 금융회사에 미치는 수익 기여도가 큰 만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금융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여기에 맞춘 금융상품을 준비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뉴시니어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높은 수익보다 자산 손실 위험이 없는 안전한 관리를 우선으로 한다. 실제 뉴시니어의 55.7%는 원금 보장이 되는 상품을, 55.3%는 정기적인 수익이 발생하는 상품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상품 중 △하루만 맡겨도 수익이 발생되며 인출이 용이한 ‘파킹통장’ △연금신탁·보험과 같은 ‘정기지급형 상품’ △월 지급식이나 주가지수와 연계돼 비교적 안정적인 ‘간접투자 상품’ 등에 관심이 높은 것이다.

뉴시니어의 83.3%는 스마트폰 뱅킹을 이용했다. 이는 영업점 이용(49.3%) 대비 1.7배 높은 수준이다. 그만큼 디지털 채널에 수용적이고, 향후 디지털 기반의 고도화되고 개인별 금융 니즈에 최적화된 맞춤 서비스를 기대하는 것이다.

뉴시니어가 기대하는 금융·경제 관련 부가서비스는 ‘소득원 마련을 위한 교육·정보(20.0%)’처럼 은퇴를 대비하는 정기적 소득 창출과 관련된다. 금융과 연계할 수 있는 생활 정보·서비스 중에서는 ‘국내·외 여행(60.0%)’이나 ‘건강·다이어트(59.8%)’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기준 국내 인구 비중에서 50대가 16.8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40대가 15.17%, 60대 14.92%, 30대 13.36%, 20대 12.31%, 10대 8.79% 순이었다. 통계청은 10년 뒤 6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40대 이하의 인구 비중은 갈수록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시니어마켓의 잠재 파워를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정지윤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오늘날의 액티브 시니어는 예전보다 더 젊은 몸과 마음으로 살아가지만 어른으로서의 품위 역시 지키고자 하는 상반된 욕구를 가지고 있다”면서 “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의 성향을 꿰뚫는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