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주춤해도…알짜 단지는 여전히 '신고가' 행진

입력 2021-12-03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아파트값 6주 연속 상승폭 둔화
금리인상·대출규제 강화 등 영향
강남·용산·노원 신고가 잇따라
매매 아파트 2채 중 1채 신고가
일부 지역선 저가 급매물 속출

▲경기남부경찰청 헬기에서 본 경기도 수원시 아파트 단지 모습. (뉴시스 )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로 매수심리가 쪼그라들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주춤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도 여전히 서울 주요 아파트 단지들의 신고가 행진은 멈추지 않고 있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11월 29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값은 0.10% 상승했다. 지난주 상승률(0.11%)보다 0.01%p 줄어 6주 연속(0.16→0.15→0.14→0.13→0.11→0.10) 상승 폭이 둔화했다.

부동산원 측은 “가계대출 관리 강화와 기준금리를 0.75%에서 1%로 인상한 것 등의 영향으로 매수심리와 거래 활동 위축세가 지속했고, 그간 매물 부족 현상을 겪었던 일부 지역도 매물이 소폭 증가해 6주 연속 상승 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값이 당장 하락세로 전환한 것은 아니지만 일부 단지에서는 실거래가가 하락한 곳도 나타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북구 미아동 꿈의숲해링턴플레이스 전용면적 84㎡형은 지난달 4일 10억8000만 원에 거래됐다. 종전 최고가가 8월 거래된 11억3000만 원이었는데, 석 달 새 5000만 원 하락한 것이다.

강북구 A공인 관계자는 "사정이 급한 집주인은 가격을 1000만~2000만 원 이상 낮춰 급매물로 내놔도 매수 문의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도 당장에 대출이 막히다보니 답답해 한다. 당분간 서울 집값 상승 추이도 어떻게 변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이런 분위기와 달리 서울 알짜 아파트 단지들은 여전히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11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율은 52.8%로, 9월 71%와 비교해선 줄었지만, 여전히 매매된 아파트 2곳 중 1곳 이상은 신고가를 기록 중이다.

서울 강남권 아파트 단지의 신고가 행진은 단연 눈에 띈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전용면적 145㎡형은 매매가가 올해 1월 50억 원에서 지난달 12일 56억 원으로 손바뀜했다. 10개월 새 6억 원 상승한 것이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형은 9월 42억 원에 매매되면서 처음으로 매매가 40억을 넘겼다. 이후 지난달 15일 해당 면적이 45억 원에 거래되면서 두 달 새 3억 원이 뛰었다. 이 아파트가 기록한 신고가 45억 원은 전국 국민평형(전용 84㎡형) 역대 최고가다.

강북권 아파트도 신고가 기록이 연이어 터졌다. 재건축 사업을 추진 중인 용산구 이촌동 한강맨숀 전용 101㎡형은 지난달 11일 35억 원에 거래되며 종전 최고가(27억 원·1월)를 경신했다. 10개월 새 8억 원이 오른 셈이다. 서울 노원구 중계동 금호타운 전용 84㎡형은 지난달 9일 9억8500만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종전 신고가는 8월 매매된 9억4700만 원이었다.

올해 서울 아파트 주요 지역들의 평균 매매가 상승도 단연 눈에 띈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마포구와 광진구의 3.3㎡당 아파트값이 각각 5032만 원, 5011만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3.3㎡당 5000만 원을 넘는 곳은 강남·서초·송파구 등 3곳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는 용산·성동·마포·광진구까지 더해 3.3㎡당 5000만 원을 넘는 자치구가 7곳으로 늘었다.

이처럼 서울 주요 아파트 단지에서 여전히 신고가 릴레이가 나타나는 것은 현재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 자체가 사라진 건 아니라는 지적이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수요를 억제한다고 수요가 사라지는 게 아니라 억제된 형태로 눌려있다가 시장 상황에 따라 폭발할 수도 있다”며 “서울의 경우 아파트값이 너무 비싸니까 아파트 거래량이 다세대 주택 거래량보다 적게 나왔는데 이런 것만 봐도 집에 대한 수요가 실현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