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회복세, 임시일용직 근로자 ‘임금 상승’엔 독(毒)?

입력 2021-06-05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작년 코로나19發 저임금 근로자 이탈로 임금 5~11%↑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상점에 임시휴업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1년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내용에서 눈길을 끄는 부분이 있다.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기준 임시일용 근로자 월평균 임금 상승폭이 올해 3월에는 대폭 축소됐다는 내용이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올 들어 수출 호조 및 내수 회복세 여파로 고용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임시일용 근로자 임금이 더 오름세를 보여야 하지만 오히려 반대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임시일용 근로자의 임금은 코로나19 확산세가 본격화한 작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5% 이상의 큰 상승폭(전년대비)을 보여왔다. 특히 작년 3~4월 상승폭은 11%에 달했다.

그러나 올해 3월(월평균 임금 169만 원)에는 2.1% 오르는 데 그쳤다. 이처럼 코로나19발 경기 악화가 발생한 작년보다도 임시일용 근로자 임금 상승폭이 줄어든 것은 고용 개선과 관련이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지난해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 근로자가 감소해 임금상승률이 크게 확대됐으나 올해 3월에는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 근로자 증가 등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말했다.

즉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저임금 업종에 속하는 숙박·음식업 등에 주로 종사하는 임시일용근로자 다수가 일자리를 잃고 노동시장을 이탈한 것이 되레 전체 임시일용 근로자 임금을 상승시켰다는 얘기다.

실제 숙박·음식업 종사자 수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여파 등으로 작년 3월(-13만5000명)부터 올해 1월(-24만 명)까지 매달 -10만 명 이상의 감소폭을 보였다. 이후 거리두기 조치 완화와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3월과 4월의 감소폭이 각각 -5만9000명, -3만1000명으로 대폭 축소됐다.

이는 앞으로 고용 개선 흐름이 지속돼 저임금 업종의 고용이 늘면 임시일용 근로자의 임금 상승폭은 더 줄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해 볼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럴 경우 정규직을 의미하는 상용직 근로자와의 임금 격차는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성과급, 특별급여 등을 받는 상용직은 경기가 좋아지면 그만큼 소득을 더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 1.1% 밖에 안 올랐던 상용직 근로자 임금이 경기 회복세를 보인 올해 3월엔 4.2% 오른 것이 이를 방증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