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충돌에 대한 긍정: 속도 조절’ 주제로 토론 진행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의 속도 조절이 이뤄지고 있지만 그런 상황에서도 ESG 시대를 착실히 준비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의 격차는 점차 더 커질 것입니다.”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 사무총장)
2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지속성장전략 포럼’에서는 ‘거대 충돌에 대한 긍정: 속도 조절’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에는 김동수 김앤장 ESG 경영연구소장, 문정빈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사무총장, 윤동열 건국대 경영대학 교수, 안윤기 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 김민성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좌장은 곽주영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가 맡았다.
곽 교수는 “과거에는 ‘ESG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중심이었지만, 현재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기류가 생기며 양측 간 충돌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가별 정책 방향도 엇갈리고 있는 만큼, 기업 입장에서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고민이 큰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유 사무총장은 “전 세계적으로 국가 정책과 글로벌 투자자들의 입장이 다르게 나타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국가 정책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글로벌 투자자들은 수익률이 지속해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므로 ESG 요소를 강조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윤 교수는 “기업이 모든 규제에 일일이 대응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보통 ESG를 환경 중심으로 생각하지만, 인권·고용 이슈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국가나 주(州) 단위의 규제가 너무나 다양해 특히 중소·중견기업엔 큰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제 질서가 재편되는 가운데 국가의 방향성과 기업의 대응이 어긋날 수 있어, 중소기업을 어떻게 도울지 정부 차원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상무는 “ESG 확산을 위해서는 산업계뿐만 아니라 금융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아무리 규제가 나와도 금융시장이 따라가지 못하면 실행력이 떨어진다. 시장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연구위원은 “친환경 규제에 대한 유럽연합(EU)의 속도 조절은 최소 3~4년 정도 유지될 것”이라며 “기업은 이 시기를 ESG와 관련해 부족했던 체계 정비나 시스템 고도화, 내부 인력 전문성 강화하는 시간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중소·중견기업들이 저탄소, 탈탄소로 전환하려면 전환금융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해줘야 한다”며 “전환금융을 어떻게 산업 진흥 정책과 연결할 것인지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문 교수도 “중소·중견기업들은 자원이 한정돼 있다 보니 더욱 취사선택이 중요하다”며 “ESG 중에서도 앞으로 더 중요해질 요인은 무엇일지, 최종 고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지 잘 파악해서 대응하는 것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