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째깍째깍’ 상장사 절반 이상이 유동비율 200% 미만

입력 2019-04-16 1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장사 절반 이상이 저조한 유동비율을 기록해 부채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결산 기준 상장사 1961개사(코스피 718사, 코스닥 1243사) 중 절반 이상인 1175개사(59.92%)가 유동비율 200% 미만으로 재무유동성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59.47%)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1년 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유동부채(1년 내 갚아야하는 부채)로 나눈 비율이다. 기업의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낮을수록 부도 위험 등 기업의 재무유동성 리스크가 커진다. 통상 200%가 넘어야 안정적이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유동비율이 200% 이상을 기록한 기업은 786개사로 전체의 40.08%다. 대부분은 바이오 업종으로 셀트리온(245.47%), 삼성바이오로직스(222.04%)를 비롯해 올릭스(13938.37%), 파멥신(4189.38%), 티앤알바이오팹(3865.47%), 테고사이언스(2714.20%), 바이오솔루션(2384.07%), 셀리드(2174.64%), 크리스탈(1625.62%), 제넥신(1639.62%) 등이 안정적인 유동비율을 보였다.

반면 피앤텔(16.26%), 에스제이케이(27.42%), 윈팩(30.89%), 에이티세미콘(33.41%), 멜파스(34.55%), KJ프리텍(35.01%), 하나마이크론(44.11%), 에코플라스틱(46.04%) 등 휴대폰 및 자동차부품 업종은 저조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유동비율이 100% 미만으로 부채 대응 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은 448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유동비율이 낮다는 것은 단기적으로 끌어올 수 있는 자금이 얼마 안 된다는 의미”라며 “자금운용이 계획대로 돌아가면 상관 없지만 자금운용이 타이트하게 이뤄지면 일시적으로 자금 흐름이 마비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년 대비 유동비율이 악화된 기업도 941개사(47.98%)에 달했다. 바이로메드는 전년 대비 유동비율이 -7229.83%포인트 하락하며 1년새 급격히 유동성 리스크가 커졌다. 이외에도 썸에이지(-3172.35%p), 서울리거(-2438.71%p), 씨엘(-2313.20%p), 넥스턴(-2224.66%p), 펩트론(-2074.41%p) 등도 크게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삼성전자(252.89%), 현대모비스(239.26%), 네이버(205.58%)가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반면 현대차(95.36%), 한국전력(90.40%), LG디스플레이(88.40%) 등은 저조한 수치를 기록했다.

회계법인 관계자는 “이상적인 유동비율은 업종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비율이 낮을수록 부도 위험 등 유동성 리스크도 커진다”며 “보통 유동비율이 낮은 상장사들은 차입이나 회사채 발행,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수혈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