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토양 ‘라돈 농도’ 심각 ...세계 평균의 2배

입력 2016-09-27 10: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나라 토양 중 라돈 위해성 평가결과가 세계 평균 보다 2배라는 결과가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7일 정부가 2013년 시범조사를 시작해서 진행하고 있는 ‘토양 중 자연방사성물질 분포실태조사’의 결과를 공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서 흡연에 이어 폐암 발병의 주요원인 물질로 규정돼 있는 무색, 무취의 기체다. 라돈은 토양을 기반으로 대기 및 주택을 통해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동안 우리 정부는 ‘실내 공기질 관리 기본계획’등을 통해 다양한 라돈 저감활동을 해왔다.

이 의원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토양 중 라돈 실태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라돈 유의지역’의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3년 시범조사를 시작으로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눠 순차적으로 2018년까지 토양 중 자연방사성 물질에 대해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이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시범조사를 했던 괴산, 미원, 보은, 금산의 경우 유효등가선량(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가 제시한 건강손해를 산정하기 위한 방사선량) 평균이 0.11mSv/y(밀리시버)로 세계 평균 0.06mSv/y보다 두 배 높았다. 또한, 최고치는 0.29mSv/y로 세계 평균보다 4배 가까이 높았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토양 중 라돈농도 실태 결과가 심각함에도 그동안 우리는 실내공기질 관리 측면에서만 라돈을 관리해왔다는 점이다.

이 의원은 "실내의 라돈 농도는 환기 습관이나 건축 자재의 종류, 건물의 상태 등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내 라돈 농도 측정결과를 활용하는 것은 다양한 라돈 저감 대책들의 실효성을 떨어뜨릴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실제 2009년에 수립ㆍ추진됐던 ‘제2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중 ‘라돈지도’는 2012년 겨울과 2014년 겨울 측정 결과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 의원은 지난 ‘제2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상 2015년에 라돈 관련 ‘토양 및 지하수 이용지침’을 만들 계획이었으나, 환경부가 주택을 중심으로 한 라돈 농도 실태조사와 라돈지도 만들기에 집중했기 때문에 지침을 만들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토양을 중심으로 전국 자연방사성물질 분포 지도와 DB를 구축하고, 자연방사성물질을 함유한 토양과 원료물질 사용에 대한 안전관리지침을 마련하는 등 토양 중 방사성물질 관리 체계를 마련해서 운영하고 있다.

이 의원은 "토양 중 라돈 농도 관련 실태는 명확한 위해성 평가 기준 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의 측정치이기 때문에 위해성을 단정할 수 없다"면서도 "그러나 라돈의 특성이 토양이나 암석을 기반으로 해서 실내로 유입되는 기체이기 때문에 실내 중심 관리정책에서 토양 중심 실태조사ㆍ관리 중심으로 변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