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근의 企와 經] 현대차의 새로운 고민 ‘노노갈등’

입력 2012-08-29 11:47수정 2012-08-29 15: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협상을 하고 싶어도 교섭 상대자인 노조끼리 갈등을 빚다보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네요.”

현대자동차가 ‘노노갈등’에 다시 발목이 잡혔다. 현대차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 노조의 극한 대립으로 4개월째 임금협상을 마무리 짓지 못하면서 협상은 답보상태에 빠졌다.

비정규직 노조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전원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면서 이번 임협을 반대, 회사측 대표들은 비정규직 노조의 협상장 입구 봉쇄로 협상조차 벌이지 못하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그 사이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 노조는 상부조직인 금속노조의 지침에 따라 부분파업을 실시, 총 7만627대의 생산차질이 발생하면서 1조4671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회사측은 집계했다.

이는 현대차노조가 설립된 지난 1987년 이후 25년 역사상 2006년(11만8293대·1조6443억원) 이후 역대 두 번째 규모다. 또 최근 이슈였던 삼성전자가 애플에 배상해야 할 액수보다 많은 금액이다.

노조는 더욱이 30일까지 부분파업을 하겠다고 결정했다. 생산손실규모는 더욱 늘어나 역대 최대규모의 생산차질이 예상된다.

현대차 노조는 대표적인 강성노조이다. 금속노조의 핵심 노조지회로써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은 연례행사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노사갈등의 원인이 과거와 다르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전처럼 단수노조 시절에는 노조와 사측의 이견이 노사갈등의 유일무이한 원인이었지만 이제는 노노갈등도 새로운 파업유무를 가르는 유일무원인이었지만 이제 ‘노노갈등’이라는 새로운 변수가 등장한 것.

현대차가 ‘노노갈등’으로 문제가 된 것은 비단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08년과 2010년에도 노노갈등으로 임단협이 난항을 겪었다. 특히 2008년에는 노조 대의원들이 노사협상안에 반대하면서 노조집행부의 교섭 참여를 방해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노노갈등’이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잡고 있다면 현대차 사측에서도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대차는 노사문제에 있어서는 늘 노조측에 끌려다닌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현대차 노조가 ‘귀족노조’로 평가되는 것도 노조의 무리한 요구도 하나의 원인이지만 이에 늘 끌려다닌 사측의 책임도 분명히 있다,

올해도 현대차는 기본급 9만5000원 인상에 성과급 350%,타결 일시금 900만원 등 1인당 임금인상효과가 작년보다 평균 400만원 가량 높은 조건을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파업으로 대응하고 있다.

같은 원인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면 어느새 그런 현상은 고착화될 가능성이 있다. 지금은 단순히 노조의 반발이 심하기 때문에 그들을 달래기 위한 당근책을 사용하기 보다는 노노갈등으로 인한 생산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근원적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