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정치자금법 위반’, ‘정치 스폰서’ 등의 의혹에 대해 해명에 나서자 국민의힘은 16일 “긴 해명에서 알맹이는 다 빠졌다”며 압박을 이어갔다.
국무총리 인사청문특위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김민석의 긴 변명은 세 마디로 요약된다. △현금 2억 받았지만 요구한 것 아냐 △아들 ‘입법 스펙’은 안 써먹었어 △조의금·강연비로 최소 5억 이상 벌었고 감사 헌금도 했어”라고 밝혔다.
앞서 김 후보자는 2002년 지방선거 때 새천년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하면서 SK로부터 2억 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이 사건으로 그는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 추징금 2억 원을 선고받았다. 김 후보자 측은 이와 관련해 “정치 검찰의 표적 사정”이라고 주장하면서 당시 사건과 관련한 모든 관련자를 인사청문회 증인으로 부를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밖에 김 후보자의 아들이 고교 시절 표절교육 강화와 관련한 입법 추진 활동을 하면서 ‘아빠 찬스’를 썼다는 논란, 채무 문제 등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에 대해 주 의원은 “김민석 후보자가 2억 원을 챙긴 2002년에는 강남아파트가 평당 1590만 원 하던 시절”이라며 “거액을 챙겼다. 변명할 일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아들의 입법활동 대입 활용 논란에 대해선 “아들 스펙의 핵심은 국민은 못 누릴 특혜라는 것”이라며 “오로지, 국회의원 아빠만이 고교생 아들을 위해 법안을 제출해 주고 세미나 열어줄 수 있다. 우리 세금으로 아들의 대학원, 취업에 두루 쓰일 ‘보험용 스펙’을 쌓은 것”이라고 직격했다.
또 “아들이 나온 국제고는 학비만 연간 수천만 원이 든다. 코넬대도 연 1억 원 이상 학비와 생활비를 감당해야 한다”며 “이혼한 전처가 절반도 아닌 ‘전액’을 부담했다면 송금 내역을 구체적으로 공개해야 맞다. 2002년 공개 당시 전처 재산은 2억 원이었다”라고 주장했다.
주 의원은 “김민석 후보자는 2020년 5월 마이너스 5억 8000만 원이던 재산을 2025년 6월 플러스 2억 1500만 원으로 늘렸다”며 “5년 만에 8억 원의 재산이 늘어났고, 생활비 쓰면서 매년 1억 6000만 원을 저축한 셈”이라고 했다.
이어 “세비 5억 원 받아서 교회 헌금 2억 원, 카드·현금 2억 3000만 원을 썼고, 추징금 6억 2000만 원을 납부하고, 월세와 아들 학비도 썼다”며 “조의금·강연비로 최소 5억 원 이상 벌었다는 뜻인데, 재산 등록 서류와 세무 신고에는 흔적이 없다. 조의금도 2020년 11월 빙부상 외에는 특별한 경조사를 못 찾겠다”고 했다.

나경원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겉으로는 반미주의 선봉에서 전과 기록을 훈장처럼 여기면서 정작 자신은 미국에서 수학하고, 자녀도 미국 유학”이라며 김 후보자를 비꼬았다.
이어 “반미를 외치지만, 자녀유학은 미국. 특목고 자사고 폐지, 평준화를 외치지만, 나의 자녀는 특목고, 자사고, 해외명문 교육”이라며 “문 정권 임종석 비서실장, 좌파 교육감들을 비롯한 여권 인사들의 위선적 작태와 판박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은 가재, 붕어, 개구리 운운하며 하향 평준화 시키고, 자신과 자녀들은 특권의 사다리로 올려보낸다”며 “겉은 좋은 말로 포장하지만, 실체는 위선, 무능력, 불공정 그 자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