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걷기 힘들어요" 척추관협착증 신호일 수 있어[e건강~쏙]

바른 자세와 근육 강화로 예방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일정 거리 이상 걷다 다리에 통증이나 저림이 생겨 잠시 쉬었다가 다시 걸어야 한다면 척추관협착증 신호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노년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척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통증, 다리 저림,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한다.

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척추관협착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2019년 167만 명에서 2023년 198만 명으로 4년 새 18.5% 증가했다.

척추관협착증은 흔히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와 혼동되지만, 병의 원인과 양상이 다르다. 허리디스크는 디스크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오면서 신경을 압박하고 자극해 신경이 지배하는 하지 부위에 급성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의 뼈나 인대, 관절이 퇴행성 변화에 의해 비후돼 척추관이 점점 좁아져 신경을 만성적으로 압박하는 질환이다. 디스크는 주로 30~40대에 발생하고, 척추관협착증은 6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난다.

강민석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척추관협착증은 단순한 허리통증과 달리 신경을 직접 압박하고 허혈성 변화를 일으켜 하지 방사통과 보행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척추관협착증 치료를 결정할 때는 단순히 통증 완화뿐만 아니라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 회복과 삶의 질 개선까지 고려해야 한다. 척추질환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이, 증상 지속 기간, 전신 상태 등을 종합해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한다.

강 교수는 “수술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환자가 본인의 일상으로 얼마나 빠르게 복귀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며 “각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이 최선의 결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허리 통증이 오래 지속되거나 다리 감각 저하, 보행 시 통증 악화, 배뇨장애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걷는 거리나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앉아 있을 때는 통증이 줄어드는 양상이 반복된다면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단순 진통제로는 효과가 없으며, 신경 차단 주사나 시술 혹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는 평소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허리 근육과 복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직장인의 경우 자주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주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무릎을 굽혀야 한다. 비만은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증가시키므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놓치기 쉽지만, 방치하면 보행 장애나 마비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강 교수는 “허리 통증이 반복되거나 다리 저림, 보행 불편감이 계속된다면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