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에 對美 수출 2개월 연속 마이너스…7월 협상 중요성 커져

5월 대미 수출 8.1% 줄어든 100억5000만 달러
최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 32.0% 급감
한미, 7월 8일 시한으로 통상 협의 진행…대선 후 한국 측 협상 대표 관심 쏠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터뜨린 무차별 관세 폭탄 영향으로 한국의 대미(對美) 수출이 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관세 부과의 영향을 직격으로 맞은 자동차가 -32%라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미국이 한국에 대한 국가별 관세 15%를 7월 8일까지 유예한 채 우선 10%의 주요국 공통 기본관세를 우선 부과 중인 상황에서 7월 협상에 따라 대미 수출의 명암이 갈릴 전망이다. 이제 관심은 대선 이후 대미 협상을 진행할 한국 측 대표단이 어떻게 꾸려질지에 쏠리고 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대미 수출은 100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1% 감소했다.

대미 수출은 2월 99억 달러, 3월 111억 달러로 각각 1.0%, 2.3% 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으나, 관세 부과가 시작된 4월 -6.8%로 상승세가 꺾인 이후 5월 역시 감소세를 키우며 두 달 연속 마이너스 성적표를 받았다.

앞서 미국은 3월 12일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것을 시작으로 4월 수입 자동차에 대해서도 25%의 품목 관세를 매기고 있다.

또한, 한국에는 25%의 상호관세도 부과할 예정으로, 상호관세 발효는 7월 8일까지 유예됐지만, 한국은 현재 다른 국가들처럼 10%의 보편관세를 부과받고 있다.

이와 같은 관세 부과 영향으로 5월 대미 수출은 석유제품(23.1%), 이차전지(33.6%) 등의 수출 증가에도 반도체(-17.6%), 일반기계(-5.6%) 등의 주요 품목의 수출 감소로 뒷걸음질 쳤다.

특히 최대 수출품인 자동차의 5월 대미 수출이 '트럼프 관세'와 현대차그룹의 조지아 신공장 가동 확대 영향으로 18억4000만 달러에 그쳐 32.0% 급감한 것이 뼈아프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5월 16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면담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이제 관심은 7월 8일을 시한으로 진행 중인 한미 통상 협의에 쏠리고 있다.

이번 협상에서 미국이 부과하겠다는 25%의 국가별 상호관세는 물론 이미 부과 중인 자동차, 철강 등 품목 관세와 반도체 등 향후 부과를 예고한 품목 관세를 면제받거나 최소화하지 못한다면 대미 수출 감소세 행진을 막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도 대선 이후 차기 정부 출범 시 한미 협상에 나설 대표단 구성이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요청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지난달 2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위원회 소속 양당 관계자들에게 차기 정부 출범 시 대미 협상을 총괄할 고위 당국자의 교체가 신속하게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건의했다"라며 "7월 8일로 제시된 시한을 두고 미국과 협상이 촉박한 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 교체기를 맞아 대미 협상에 공백이 생기는 상황을 우려해 이 같은 건의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안 장관은 대미 협의를 총괄할 새 장관의 임명이 대통령의 후보자 지명부터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까지 길게는 수개월이 걸릴 수 있는 만큼 차관급인 통상교섭본부장을 임명해 대미 협상을 총괄하게 하는 방안을 한 방편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의 협상 요구가 대통령실 등 최고위급에서 결정을 해 줘야 하는 사안으로 알려져 차기 정부가 들어서고 그에 따른 지침을 받고 협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지금까지 미국 고위 당국자들과 협의를 총괄해 온 안 장관을 7월 협상 시한까지 사령탑 역할을 계속 부여하는 방안, 차기 정부의 협상 대표성을 상징할 새 통상교섭본부장을 임명해 그에게 업무를 넘기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또한 새 대통령실의 경제안보 라인에 통상 사령탑 기능을 대폭 보강해 미국 백악관의 '무역 차르'처럼 대통령실이 대미 통상 협상을 사실상 직접 챙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