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는 국가적 문제, 정부 관심과 적극적 지원 필요” [돈이 되는 항노화③]

조경아 전남대 의과대학 교수(한국노화학회 위원장) [인터뷰]

▲조경아 전남대 의대 교수가 최근 이투데이빌딩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노화는 개인이 아니라 국가적인 문제”라고 강조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항노화는 노화로 인한 의료‧복지‧경제 문제를 해결할 방법입니다.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전 세계적으로 노화 치료제 임상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지금이라도 정부가 적극적 지원에 나선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조경아 전남대 의과대학 교수(한국노화학회 위원장)는 최근 이투데이빌딩에서 본지와 만나 이같이 강조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주요국의 고령화에 따라 노화를 억제 또는 지연할 수 있는 항노화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등은 노화 연구에 많은 자본을 투자하며 대비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걸음마 단계다. 최근 들어서야 정부가 나서 노화 연구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조 교수는 “해외에서는 노화에 대해 장기간 연구하며 많은 투자가 이뤄졌지만, 국내에서는 노화를 타깃하는 기술이 아직 고도화되지 않았다. 최근 정부 부처별로 노화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기술이 많이 개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해외에서 노화 연구를 하고 귀국하는 연구자가 많아져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경아 전남대 의대 교수는 최근 서울 강남구 이투데이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노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업계에서는 그동안 세포 리프로그래밍, 노화 대사 연구 등의 기술을 개발하며 노화 연구를 했지만, 대형 제약사가 본격적으로 나서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지난해 노바티스가 미국의 바이오에이지랩스와 노화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대 5억3000만 달러(7600억 원)를 투자하면서 흐름은 변화할 전망이다.

조 교수는 “제약산업에서는 노화 치료제 임상을 위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진입이 어려워 연구를 후원하는 정도였고, 주로 바이오 기업 중심으로 노화 치료 기술 연구가 진행됐다. 그러나 지난해 노바티스의 대규모 투자 이후, 글로벌 빅파마도 노화를 하나의 질환으로 인식하고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노화 치료제에 관심 갖고 정부가 나서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 부처가 여러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조 교수는 “국내에서는 노화와 관련된 사업은 드물어 노화를 연구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었다. 그러나 최근 정부에서 최대 1000억 원 규모로 노화를 제어할 수 있는 의학‧진단 기술을 지원하는 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 교수는 우리나라의 노화 연구는 해외보다 늦었지만, 글로벌 임상 기준의 부재로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감한 투자와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경아 전남대 의대 교수가 최근 서울 강남구 이투데이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그는 “일본은 이미 노화연구소가 있고, 중국은 20년 전부터 노화 연구에 많은 투자를 했다. 싱가포르는 도시 전체에 노인 건강을 관리하겠다고 롱제비티(장수) 클리닉을 만들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그동안 지원이 부족해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노화 연구가 어렵고 전 세계적으로 노화 관련 임상 허가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기회가 남았다고 생각한다. 앞선 기술이나 늦게 시작한 기술이나 같은 선상에서 출발해 경쟁할 수 있다”며 “좋은 기술을 확보하면 충분히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조 교수는 노화는 개인이 아니라 국가적인 문제라며 필수불가결한 일이라고 힘줘 말했다.

조 교수는 “노화는 의료‧복지‧경제에 연관 돼 있는 국가적인 문제다. 노인이 건강하게 지내면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기대수명은 우리가 원치 않아도 늘어나고 있다. 기대수명이 늘어도, 건강수명이 늘지 않으면 늘어난 만큼 병상에서 보내기 때문에 건강수명을 연장해 기대수명이 다하기 전까지 병상에서 남에게 의존하는 시간을 얼마나 줄이느냐가, 개인‧사회‧국가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