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루메드, 췌장암 및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개발 시작

입력 2024-06-17 16: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셀루메드는 RNA-LNP 기술을 적용한 췌장암(PDAC) 항암치료제와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2020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모더나(Moderna), 화이자(Pfizer)의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개발을 계기로 RNA 유전자치료제가 각광받고 있다. RNA는 다양한 감염질환의 백신으로 암 및 대사성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RNA 치료제 시장 규모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셀루메드는 각 질환 발병에 중심 역할을 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액티브 타게팅(active targeting)하는 RNA-LNP 기술로 치료 효율을 높이고 예상되는 부작용들을 극복해 안전성이 확보되는 신약을 개발 중이다. 제조 기술 고도화를 위해 자체 플랫폼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셀루메드는 RNA-LNP 기술을 적용한 코로나19 백신으로 기술력을 인정 받았으나 원부자재 확보가 개발 및 생산 과정의 걸림돌로 꼽혔다. mRNA 백신 생산의 필수 효소인 T7 RNA Polymerase와 Pyrophosphatase의 개발을 위해 독일의 Artes Biotechnology를 통해 3 Liter급 생산 공정 단계를 완료했으며 또 다른 필수 효소인 DNase I은 현재 연구소에서 자체 개발 중으로 연내에 생산하고 세포주 제조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폐섬유증은 약4년 생존율이 50%로 본질적인 완치가 어렵다. FDA 승인을 받아 국내외에서 처방되고 있는 기존 폐섬유증 치료제는 환자에게 실질적 효능이 인정되었으나 치료 비용이 높고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완치 가능성이 낮아 기능이 개선된 폐섬유증 신약의 잠재적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췌장암은 영상 진단을 통한 발병 판단과 조기 진단이 어려운 질병이다. 발견됐을 때 이미 전이가 상당히 진행돼 생존율이 낮은 암 종이다. 효과적인 최장암 치료를 위해 부작용이 적고 효능이 우수한 항암제 개발도 절실한 상황이다.

셀루메드 관계자는 “셀루메드는 RNA 물질을 체내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독보적 기술력으로 자체 개발한 LNP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향후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을 위한 효소 생산이 가능해 빠른 시일 내 RNA 치료제 개발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