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에 가속도 붙은 AI신약 개발...문제는 '인재'

입력 2019-03-21 18: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설립한 ‘AI 신약개발지원센터’가 20일 개소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에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면서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1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신약을 출시하기까지 평균 10여 년 이상의 시간과 수 조원 가량의 자금이 소요되는 데 비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은 이러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최근 떠오르고 있다. 특히 신약후보 산출, 독성예측, 약물조합 시너지 예측 , 전임상 실험 디자인 및 처리 등 많은 단계에서 AI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이에 관련 시장 규모는 2024년 40억달러 (4조4440억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업계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찌감치 AI 기반의 신약 개발에 뛰어든 글로벌 제약사들은 활용시작 단계를 넘어 검증단계까지 진입한 상태다. 국내 제약사들도 AI 기반 신약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AI 플랫폼 구축부터 전문가 양성까지 ‘퍼스트 무버’를 만들어 내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책들이 제시되고 있다.

◇‘시간·비용 단축’... AI 활용 신약개발에 속도내는 정부

최근 복건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19년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에 75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신약개발에 필요한 AI 플랫폼을 구축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단축하는 게 주 목적이라는 것이 복지부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투자분야의 연구과제와 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과제를 지원한다. 특허청도 AI 기반 신약 탐색기술이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특허·실용신안 심사기준 개정안‘을 만들었다.

국내 연구진들을 위해 국내외 화합물 정보가 통합구축된 서비스도 생긴다.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은 양질의 화합물 정보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 AI기반 신약 개발을 위해 벤처기업 파로스IBT와 함께 국내외 화합물 정보를 통합 구축하고, 국내 연구진들에게 포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설립한 ‘AI 신약개발지원센터’가 19일 개소하면서 앞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약개발 성공률을 크게 끌어 올릴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센터는 제약사와 인공지능 개발사의 연구개발 공공데이터 구축사업을 기획하는 한편 전문인력 양성과 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AI 신약개발지원센터를 통해 신약개발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가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있는 만큼 연구개발 확대 등 AI기반 신약개발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속도내는 AI기반 신약개발...전문인력 양성 시급

이처럼 AI기반 신약개발에 정부의 힘이 실릴수록 전문인력 양성도 시급한 숙제로 지적되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발표한 국내 4대 분야(AI·클라우드·빅데이터·증강/가상현실) 인재 수급전망에 따르면 오는 2022년까지 가장 부족한 분야로 AI전문가(7268명)가 꼽혔다. 실제로 AI기반 신약 개발 벤처회사 직원 가운데 바이오기술 전문가(20%), 관리직원(64%)외에 약 15%정도만이 AI 전문가여서 관련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과학기술부는 올해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고려대, 성균관대 3곳을 AI대학원으로 선정하고 5년간 90억원씩의 예산을 지원해 올해 2학기부터 인공지능 관련 학과를 개설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약과학자 양성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은 약사 학위+경영학 석사(PharmD + MBA), 약사 학위+법학 석사(PharmD + JD) 또는 대학 신입생 때부터 약대 입학을 준비할 수 있는 조기 약대 과정(Pre-Pharmacy Advantage Program) 등 주별로 다른 융복합 교육체제를 가지고 있다. 일본도 약사와 약과학자를 양성하는 이중 교육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국내도 임상약사에 쏠리는 시스템에서 벗어나 선진국처럼 신약개발 전문 약과학자의 배출을 늘려야 한다”며 “4차 산업에 걸맞는 융복합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마인드를 심어 줄 수 있는 교육체계가 빠르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