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서도 요구했지만 거절…반년만에 입장 바꿔
현대·기아자동차가 세타2 엔진 결함으로 인한 리콜 악재로 신음하고 있다. 미국에 이어 국내에서도 리콜을 결정한 현대·기아차는 캐나다에서도 세타2 엔진이 장착된 5개 차종에 대해 리콜 조치를 받았다. 여기에 제네시스·에쿠스 6만8000대에서도 엔진과 관련된 결함이 발견돼 정부가 리콜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12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미국과 캐나다, 국내에서 리콜하는 차량은 총 147만 대 규모다. 2015년 미국에서 현대차와 기아차는 크랭크 샤프트 핀 제작 불량을 이유로 각각 57만2000대, 61만8160대 등 총 119만160대를 리콜하기로 했다. 이어 국내에서는 화성엔진 공장 청정도 문제로 발생한 금속 파편 미제거로 17만여 대를 리콜한다. 캐나다에서도 현대차 7만6683대, 기아차 3만7504대 등 11만4187대를 리콜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미국과 같이 크랭크 샤프트 핀 제작 불량이 리콜의 이유다.
국토부는 세타2 엔진에서 소착 현상 발생 등 제작 결함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를 내놓은 차량은 총 5개 모델이다. 리콜 대상은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현대차 ‘그랜저(HG)’, ‘쏘나타(YF)’, 기아차 ‘K7(VG)’·‘K5(TF)’·‘스포티지(SL)’ 로 내달 22일부터 리콜이 시작된다.
현대·기아차의 리콜 악재는 고급차인 제네시스와 에쿠스에도 번지고 있는 모양새다. 국토교통부가 형제 브랜드인 제네시스와 에쿠스에서도 제작 결함이 발견돼 리콜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28일 현대차에 제네시스·에쿠스 등 제작 결함이 확인된 4건에 대해 30일 이내에 리콜하라고 통보했다. 현대차는 이 기간에 자발적으로 리콜을 실시하지 않으면 국토부가 강제로 리콜에 들어간다. 리콜 결정된 제네시스·에쿠스 차량은 2011년 생산 모델이다. 캐니스터(연료 증발 가스를 흡수·저장하는 부품) 결함이 발견돼 리콜 대상이 된 차량은 총 6만8000여 대로 알려졌다.
소비자단체 등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제작결함심사평가위원회는 20일에 회의를 열어 △아반떼·i30·쏘나타(5만여 대)의 MDPS(전동식 조향 장치) 결함 △LF 쏘나타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결함 등에 대해 리콜 필요성을 검토한다.
이에 따라 올해 실적 반등을 노리는 현대·기아차의 목표 달성에도 제동이 걸리고 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 조치로 현대·기아차의 판매가 급감한데 이어 대규모 리콜 악재까지 이어지면서 영업이익 6조 원 달성에 빨간불이 켜진 것. 더불어 지난해 국내에서는 엔진 결함이 없다고 장담했던 현대·기아차에 소비자들이 늑장 리콜·내수 차별 논란을 제기하고 있어 정몽구 현대차그룹회장의 품질 경영이 위기를 맞게 됐다.
현대·기아차의 내수차 세타2 엔진 결함 의혹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현대·기아차가 2015년 미국에서 세타2 엔진 결함으로 해당 차량에 대해 리콜과 보증기간 연장을 실시하자, 지난해 10월 국내 소비자들도 리콜을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팔린 세타2 엔진에서 미국 차량과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리콜이 진행되지 않자 소비자들은 내수 차별 논란을 제기했다. 이에 현대·기아차는 리콜 대신 고객신뢰 제고 차원의 엔진 부분 보증기간을 연장했다. 당시 현대차는 이에 대해 미국 세타2 엔진 결함은 현지 공장 가공 과정에서 이물질이 생긴 사안으로 국내 생산·판매 차량에는 문제가 없다고 못박았다.
하지만 현대·기아차는 엔진에 문제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6개월 만에 뒤집으며 늑장 대응 논란에 휩싸이게 됐다. 현대차는 이번 자체적 결함에 대해 공정상에서 일어난 청정도 문제라고 설명했지만, 이마저도 불명확한 해명이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기업의 신뢰도 추락하고 있다. 현대차는 엔진 결함 원인으로 공장 청정도 문제를 지목하고 있지만, 미국에서 확인된 결함 내용과 공통적으로 엔진 내부에 금속 이물질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를 바 없어 늑장 대응이라는 지적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국토부의 강제 리콜 전에 자발적으로 리콜을 결정해 신뢰도 하락을 최소화하려 했겠지만,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