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증시전망] 공공 인프라·에너지株 뜨고, 전자·해운·항공株 저문다

입력 2016-12-06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美·中·英 인프라 투자 확대 예고에 건설기계·소재 업종 긍정적… OPEC 감산 합의에 유가 상승세 정유·화학·조선주 수혜 기대… 美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가전·전자 된서리 예고… 유류할증료 거리비례 방식 부과에 항공 장거리 수요도 위축 전망

내년 국내 시장 상황은 세계의 정치 지형도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임기를 시작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선거 당시 발언이 부지런히 반영되는 모습이다. 또 유가 등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혜택을 입게 될 관련 섹터도 유망주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유럽의 정치적 불안정성 확대와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인한 국내 기업 불이익 조치 등이 예고되면서 관련 섹터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에너지 가격 상승…화학·철강·건설주 등 수혜주 관심 =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통한 정부 주도의 경제 성장을 약속했다. 지난달 당선에 따른 ‘트럼프 발작(Trump Tantrum)’으로 신흥국 중심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점차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공약에 영향을 받는 제조업 등 관련 업종에 대한 주가 상승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우선 내년 미국을 중심으로 중국과 영국 등에서 대대적 인프라 투자 확대가 예고되고 있다. 트럼프는 사회 인프라에 1조 달러(1172조7000억 원)의 자금 투입을 공약으로 내거는 등 대대적인 인프라 투자 강화 계획을 예고한 바 있다. 영국도 브렉시트 충격을 벗어나기 위해 2020년까지 270억 파운드(39조 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 계획을 내놓았다. 이는 건설기계·소재업체 등 관련 업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에너지 가격 상승 현상도 주목할 만하다. 화석연료 생산 확대 공약에 따라 대선 승리 직후 원자재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도 발전용 석탄을 중심으로 석탄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천연가스 가격도 전반적인 가격 강세가 예상된다.

여기에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 생산량 감축 합의에 국제유가가 상승함에 따라 정유·화학·조선주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통 에너지 관련주가 연일 강세를 보이며 내년까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선업계는 유가가 상승하면 글로벌 오일 메이저들의 해양플랜트 투자가 재개되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수주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수익 창출력이 저하된 가운데 수주도 감소할 것으로 봤다. 관련 업계의 자구계획 진행 상황을 살피고 해양플랜트 인도 일정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 유가 상승 영향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셰일가스 개발 공약이 국제 유가 상승에 제동을 걸 것이라는 관측이다.

본격적으로 4차 산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AI), 웨어러블, 전기차 등 관련주도 주목받고 있다. 이는 중국에서 추진하는 ‘중국 제조 2025’ 전략 등 성장 방향과도 맞물린다.

그간 국내 증시를 이끌었던 제약·바이오산업은 하반기 들어 각종 악재를 맞아 주춤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의 저가 의약품 확대 정책 등에 따라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면서 국내 관련주도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국제정세 불안·보호무역주의 대두·고유가 역풍 등 우려 = 트럼프 당선인이 내세운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악재와 맞서야 하는 업종도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정책을 내세움에 따라 가전을 포함한 전자부품 산업은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다만 일본 자동차 업체에 대한 관세 혜택이 철폐될 경우, 미국 판매 물량 70%를 현지에서 생산하는 국내 자동차 업계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올해 말부터 내년 초까지 예정된 유럽 내 정치 이벤트도 국제 정세 불안을 키우는 리스크 요인이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무엇보다 금융 섹터에 부정적 영향으로 이어지고 있어서다.

한국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조치 등의 문제도 현재진행형이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29일부터 롯데그룹 계열사들에 대한 세무조사 및 소방·위생 점검을 일제히 실시했다. 사드 부지를 제공한 데 대한 보복조치라는 주장이다.

아울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저유가 혜택을 보던 해운·항공주는 피해가 예상된다. 항공업의 경우 올해 권역별 유류할증료 부과 방식이 거리 비례 할증방식으로 개편되면서 장거리 노선일수록 유류할증료가 더 많이 붙게 됐다. 유럽, 미주 등 장거리 여행 수요 감소가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