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대북 대규모 투자 사업장 이전 가능성은

입력 2018-05-15 09: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시스
삼성이 북한에 사업장을 이전하고 베트남처럼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의 블룸버그 통신은 13일(현지시간) 북미정상회담 비핵화 담판을 앞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 달성과 경제개혁, 개방에 나서게 된다면 삼성이 북한에 사업장을 이전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회사의 칼럼니스트인 슐리 렌은 ‘북한을 삼성의 새로운 뒷마당으로 만들 수 있다’는 기고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블룸버그는 현재 북한의 상황이 1986년 베트남 ‘도이모이’ 개혁을 통해 자본주의로 향해 나가던 때와 비슷하다고 봤다. 현재 베트남은 제조업의 허브로 부상해 북한의 6배에 달하는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지난해 베트남은 6.8%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했는데, 이는 지난 10여 년 사이의 최고 성장률이다.

특히 베트남의 성장에는 삼성의 투자가 기여했다. 베트남의 최대 외국 투자 기업이자, 전체 수출 25%를 차지하는 삼성은 수년간 베트남에 170억 달러 규모를 투자했다.

모건스탠리는 북한이 사실상 제로인 해외투자를 GDP의 20% 규모까지 유치할 수만 있다면 북한 경제는 5% 성장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북한의 전체 GDP 310억 달러(2016년 기준)의 20%는 62억 달러이므로, 이 정도의 투자규모는 삼성이 베트남에 수년간 17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 것을 고려할 때, 삼성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채워질 수 있다.

인구 구성비만 따지면 베트남이 북한보다 좋은 조건이란 분석이 나온다. 베트남 인구의 70%가 노동 가능 연령층인 데 비해 북한은 그 비율이 44% 가량이다. 노동 연령층이 최고치에 달하는 시점도 북한은 2020년인데 비해 베트남은 2040년이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북한의 개방이 실현되면 남북한 인구가 8000만 명에 달해 한반도는 생산과 소비 자급 경제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2016년 중단된 개성공단의 시간당 임금은 1.1달러로 베트남의 1.3달러보다 낮아 한국 기업들이 북한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삼성은 아직 대북 사업 진행에 구체적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삼성은 90년대 중반부터 의류와 TV, 전화기 등을 북한에서 임가공 형태로 제조하는 사업을 했지만, 그 규모는 대북사업의 명맥만을 유지하기 위한 상징적 수준이었다. 북한의 핵실험 등 위험 요소가 증가되는 등 사업적 실익을 찾기 힘들어진 삼성은 2010년 북한내 TV사업 등을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이후에도 삼성은 정부가 북한과의 교류 확대를 위해 우리 기업들의 북한 진출을 독려하면서, 사내에 북한 동향과 동북아 정세 등을 분석해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팀을 구성했다. 또 삼성경제연구소가 필요시 북한 정세 동향을 분석해 그룹 고위층에 별도로 보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러 차례 대북 사업을 시도해봤던 삼성이기에, 더욱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과거와 같은 경협중단 사태 재발 방지와 투자보장 등의 불확실성 제거, 정권변동과 관계없는 일관성 있는 대북정책 추진 등의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본격적으로 나설 가능성도 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실장은 “정치적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북한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어렵다”며 “궁극적으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남북경협을 추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