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책과 증시] 부동산 옥죄기에 틈새 투자…지역 거점 중소형 건설사 두각

입력 2017-10-31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수혜주는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 기조에 따라 공공임대주택 등 공영개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준공 46년?재난위험시설 D등급인 부산의 가장 오래된 중구 영주동 시민아파트. 연합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인 부동산 정책 공약이다. 재개발이나 재건축 등 대규모 철거 위주의 사업에서 벗어나 기존 도시의 틀을 유지하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국토교통부가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사업계획서를 접수한 결과, 지자체가 신청한 사업 196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제안한 사업 16개 등 총 212개가 신청됐다.

국토부는 올해 총 70곳의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을 선정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는 앞으로 5년간 연평균 2조 원의 정부재정과 기금 4조9000억 원의 공적재원, 그리고 연간 3조 원 이상의 공기업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우선 기존 부동산 정책과는 다르게 소규모 개량과 공익적 성격을 특징으로 하는 탓에 대형 건설사보다는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중소형사와 중견사, 건자재업체들이 주목받고 있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대규모 철거 및 정비사업이 아니라 소규모 사업 위주으로, 공적자금 위주로 투입돼 민자사업 대비 수익성이 낮을 전망”이라며 “작은 규모와 낮은 수익성으로 대형사에겐 매력도가 떨어질 수 있지만, 특정 지역에 거점을 두고 있는 중소형 건설사와 LH와 민간합동사업을 확대 추진 중인 중견사들에 기회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지역거점 업체는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동원개발과 대전의 계룡건설, 대구의 서한과 화성산업 등이 있다.

도시재생사업 선정 기준에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친환경 주택인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도 포함되면서 친환경 건축 인테리어 자재 업체들의 수혜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도시재생사업 선정 기준에 국정 과제인 패시브하우스 실현이 포함됐다는 점이 친환경 건자재의 수요를 증대시킬 요인”이라며 “최선호주는 KCC, LG하우시스”라고 언급했다.

신탁사와 공사감리(CM) 업체들의 수혜도 예상된다. 규모가 작고 사업성이 낮은 지역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한국자산신탁과 한국토지신탁과 같은 신탁사도 단독 시행사로 정비사업에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부터 총공사비가 300억 원이 넘는 공공발주 건설공사에 감리가 의무화되면서 한미글로벌, 희림과 같은 공사감리 업체도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도시정비 뉴딜사업의 핵심이 주택중심 사업에서 벗어난 지역 주도로 복합 앵커사업을 구축해 주거, 상업 복합 공간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했던 사업용 디벨로퍼의 시장 확대도 주목할 만한 포인트다. 이경자 연구원은 “동서울터미널과 영도조선소와 같이 개발 여건이 갖춰진 부지를 보유한 한진중공업, 희소성 있는 상업용 디벨로퍼인 SK디앤디의 장기적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도시재생 사업은 정비 방식이 아닌 개량과 도서관과 주차장 등 편의시설의 설치가 핵심이다. 하지만, 도시재생 사업 특성상 많은 건설 폐기물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폐기물 처리업체인 인선이엔티와 코엔텍, 와이엔텍 등도 수혜주로 꼽힌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