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 변동성 대비해야”

입력 2017-07-27 10: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간자문가 “원전·석탄 줄면 최소 예비율 줄어 수요관리 필요”

정부 정책대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확대하려면 신재생 발전의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작성에 참여하는 민간 자문가 그룹인 ‘예비율 워킹그룹’의 노재형 건국대학교 교수는 26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와 한국자원경제학회가 서울 코엑스에서 주최한 ‘친환경 전력공급체계 구현을 위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전체 전력 생산의 4%대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노 교수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다른 발전 수단보다 출력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충분한 백업 전원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 교수는 “이번(8차) 계획에서는 신재생 확대로 예비율이 더 높아진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며 “시간이 많이 있어서 어느 방법이 더 경제적인지 연구한 후에 반영해야 한다”고 했다.

또 그는 “원전은 안전성 등의 이유로 예방 정비일이 석탄이나 LNG보다 길고 발전기당 용량이 크기 때문에 새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원전·석탄이 감소하면 최소예비율 수준은 7차 계획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비율을 산정할 때 적용하는 기준인 기대공급지장일수(LOLE)는 7차 계획과 같은 0.3일/년으로 설정했다. 이는 1년에 7.2시간 이내의 전력공급지장을 허용한다는 의미다.

세미나에서는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해 전력 사용을 줄이는 수요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성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요관리는 가장 경제적인 전력수급 자원이며 제1의 에너지 자원”이라며 “저탄소 시대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 수요관리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에너지경제효율위원회(ACEEE)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로 인한 전기 절약이 2015년 미국 전체 발전량의 18%를 차지했고 2030년에는 3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 2001~2016년 효율 개선으로 전체 전력수요의 13.1%를 절감했다고 이 연구위원은 추정했다.

그는 수요관리 방안으로 △전력시스템의 지능화 △고효율 제품 사용 △에너지 절약 의식 확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부하관리 기기 보급 △자가용 태양광 발전을 비롯한 자가발전 확대 등을 제안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