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2.21 如履薄氷(여리박빙)

입력 2015-02-21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필 겸 미래설계위원장

그저께(19일)는 설날이면서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우수였다. 강물이 풀리면 얼음도 풀린다. 해빙기에 조심할 것은 보이지 않는 얼음과, 보이는데 밟으면 안 되는 얼음이다. 안 보이는 얼음엔 미끄러져 다치기 쉽고, 보이는데 약한 얼음엔 물에 빠져 목숨을 잃기 쉽다.

세상 모든 일은 얇은 얼음 밟듯 조심해서 해야 한다. 시경 소아(小雅)편에 나오는 여림심연 여리박빙(如臨深淵 如履薄氷)이 바로 이 말이다. 전문은 이렇다. ‘감히 맨손으로 범을 잡지 못하고[不敢暴虎(불감포호)] 감히 걸어서 강을 건너지 못하네.[不敢憑河(불감빙하)] 사람들은 그 하나는 알지만[人知其一(인지기일)] 그 밖의 것은 알지 못하지.[莫知其他(막지기타)] 두려워 벌벌 떨며 조심하기를[戰戰兢兢(전전긍긍)] 깊은 연못에 임하듯 하고[如臨深淵(여림심연)] 얇은 얼음을 밟고 가듯 하라.[如履薄氷(여리박빙)]’

이 시에서 포호빙하(暴虎馮河), 용기는 있지만 무모한 행위를 일컫는 성어도 생겼다. 공자는 자로(子路)의 과단성을 인정하면서도 무모함을 경계하기 위해 “나는 포호빙하하는 자와 더불어 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군을 이끌고 전쟁을 할 때 누구와 함께하겠느냐는 자로의 물음에 대한 대답이었다. 1978년 개혁 개방을 선언한 덩샤오핑(鄧小平)이 ‘돌을 두드리며 강을 건넌다[撲着石頭過河]’고 한 말도 실은 여리박빙에서 나온 것이다. 여리박빙은 줄여서 이빙(履氷)이라고 쓴다.

비슷한 말은 봄철의 얼음을 건넌다는 섭우춘빙(涉于春氷)이다. 서경 군아(君牙)편에 주나라 목왕(穆王)이 백성의 일과 교육을 담당하는 대사도(大司徒)에 군아를 임명할 때 내린 글에 나온다. 목왕은 “근심하고 위태롭게 여김이 범의 꼬리를 밟는 듯하며 봄에 살얼음을 건너는 듯하다[心之憂危 若蹈虎尾 涉于春氷]”면서 자신을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