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형건설사들이 재건축, 재개발 사업을 컨소시엄(공동도급) 형태로 수주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대단지 공사에서 증가할 수 있는 다양한 리스크를 해소하는 측면에서 이점이 크기 때문이다.
12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최근 서울 성북구 장위9구역 공공재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지분율은 DL이앤씨 60%, 현대건설 40%다. 이 사업은 장위동 일대에 아파트 2270가구와 부대 복리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총 8700억 원 규모다.
앞서 3월 롯데건설·GS건설 컨소시엄은 약 7000억 원 규모의 서울 상계5구역 재개발을 공동 수주했다. 최고 37층, 21개 동 총 2016가구와 부대복리시설을 짓는다.
같은 달 현대건설·롯데건설 컨소시엄은 경기 수원 구운1구역 재건축을 함께 수주했다. 최고 39층, 15개 동, 총 1990가구 및 부대 복리시설을 짓는 사업으로, 공사비는 약 6650억 원 규모다.
이밖에 국내 최대 규모 재건축 단지인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1만2032가) 역시 현대건설,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4개사가 시공했다.
컨소시엄 방식은 대단지 공사에서 이점이 많다. 공사 기간 준수 및 시공 부담 감소, 분양 대금 회수 등 여러 측면에서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1500가구 이상만 돼도 공기 준수나 사고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대단지 시공일 수록 컨소시엄 방식을 선호한다"며 "특히 요즘처럼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는 분양 이후 공사비 회수 측면에서도 리스크가 적다"고 설명했다.
갑작스러운 부정 이슈 대응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중대재해 사고나 재무 안정성 문제가 불거질 경우, 단독 시공은 시공사 교체까지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재무, 품질 이슈 등 예측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단독 시공은 조합이 계약을 해지하는 사례로 이어질 수도 있다"며 "컨소시엄은 상대적으로 리스크 헷지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시행자인 정비사업 조합은 단독 시공을 선호한다. 대부분의 조합은 시공사 입찰 공고시 컨소시엄 불가·단독 입찰을 조건으로 응찰을 받는다. 이후 유찰이 반복돼 사업이 지연되면 건설사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컨소시엄 형태를 허용하는 식이다.
한 재개발 사업 조합 관계자는 "조합원들은 컨소시엄 입찰보다 최대한 많은 건설사가 단독으로 경쟁해서 좋은 조건을 제안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