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실적 쓴 은행권, 신입 채용 '인색'

인터넷은행, 신입보다 경력직 중심으로 뽑아
김현정 의원 “고용 통한 사회적 책임 다해야”

원본보기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신입사원 채용 규모는 이전과 비슷하거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실적에도 고용 창출에 대한 기여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중 신한·우리·하나은행의 정기 공개 채용 인원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신한은행은 2023년 137명에서 지난해 102명으로 줄었고, 같은 기간 우리은행은 500명에서 382명으로, 하나은행은 441명에서 384명으로 채용 인원이 감소했다.

이는 애초 계획했던 채용 인원보다도 적은 수치다. 지난해 신한은행은 150명을, 우리은행은 390명을, 하나은행은 400명을 각각 채용할 계획이었다.

KB국민은행의 채용 규모는 2023년 254명에서 지난해 260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NH농협은행은 480명에서 1260명으로 대폭 확대했다. 다만 농협은행의 경우 올해 상반기 채용을 지난해 미리 채용한 구조여서 실질적인 연간 확대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정기 신입직원 채용에 인색한 모습이다. 카카오뱅크는 채용 전환형 인턴 제도 등을 통해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73명을 뽑았다. 토스뱅크는 최근 2년간 매년 1명만 채용했다. 케이뱅크는 2022년 26명, 2023년 18명을 채용했으나 지난해에는 8명으로 축소됐다.

반면 경력직 채용에는 적극적이다. 지난해 카카오뱅크가 264명, 케이뱅크가 104명, 토스뱅크가 226명의 경력 직원을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정 의원은 “최근 ‘그냥 쉬는 청년’이 5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은행권의 신입 채용이 줄어드는 등 청년 고용 환경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며 “국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금융기관인 만큼 고용을 통한 사회적 기여와 책임 있는 역할이 뒤따라야 한다”고 했다.

한편 지난해 4대 금융지주가 기록한 당기순이익은 총 16조4205억 원으로 역대 최대였다. 이자이익은 41조8760억 원으로 전년(40조6212억 원)보다 3.1%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터넷전문은행도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4401억 원으로 전년보다 24.0% 늘었고 케이뱅크는 지난해 순이익이 1281억 원으로 전년(128억 원)의 10배를 기록했다. 토스뱅크는 457억 원의 순이익을 내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