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2%대 물가 안착 '중동위기·고환율'에 무산 위기

입력 2024-04-22 10: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소비ㆍ투자 위축 우려…2.2% 성장률 달성 먹구름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제1차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물가 상승률이 상반기 3% 안팎에 머물러 있다가 하반기에 2%대 초중반으로 하향 안정화된다는 기존 전망은 유효하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 D.C.에서 국내 기자단과 갖은 간담회에서 한 말이다.

이는 올해 상반기 2%대 소비자 물가의 조기 안착을 꾀하려던 정부의 목표가 사실상 달성되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최 부총리는 올해 1월 4일 2024년 경제정책방향 발표에서 "올해 상반기 2%대 물가의 조기 안착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올해 1월만 하더라도 상반기 2%대 물가 안착 기대감이 높았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년 전보다 2.8% 올랐다. 작년 7월(2.4%) 이후 6개월 만에 물가 상승률이 3%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1월 물가 상승폭이 크게 둔화된 것은 과일 등 농산물 가격 강세 속에도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것이 주효했다.

그러나 올해 2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1%를 기록해 한달 만에 3%대로 올랐고, 3월 역시 3%대(3.1%)를 이어 갔다.

작년 작황 부진과 기저효과 등에 따른 농산물 가격 급등세에 국제유가 상승세가 겹친 것이 2개월 연속 3%대 물가 상승률의 주원인이 됐다.

특히 3월 석유류 가격은 전년보다 1.2% 올랐다. 석유류 가격이 전년대비 상승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1월(4.1%) 이후 14개월 만이다. 이에 따라 석유류 가격이 전체 물가를 0.05%포인트(p) 끌어 올렸다. 전월 물가 기여도(-0.06%p)보다 0.11%p 확대된 것이다.

이달 초 최 부총리는 "4월부터는 기상여건이 개선되고 정책효과(농산물 납품단가 지원, 할인 지원 확대 등)가 본격화되면서 추가적인 특이요인이 없는 한 3월에 연간 물가의 정점을 찍고, 하반기로 갈수록 빠르게 안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이스라엘-이란 전쟁에 따른 중동 확전 위기 고조 여파로 물가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정부의 이러한 기대감이 흔들리고 있는 모양새다.

중동 확전 위기 고조는 석유류 물가와 관련 있는 국제유가 급등을 부추기고 있다. 19일 이스라엘이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에 나서면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3.66% 올라 한때 배럴당 85.76달러에 거래됐고, 브렌트유도 3.44% 상승해 90.11달러를 기록했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보복' 주고받기가 일단은 소강상태지만 양국 전쟁 확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확전 시 국제유가 100달러 돌파는 시간문제이며 이럴 경우 석유류 가격이 크게 올라 전체 물가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 여기에 미국의 고금리 기조 장기화아 중동 지정학적 위험 고조에 따른 위험회피 심리 확산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물가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한때 1400원까지 상승했다. 원ㆍ달러 환율이 장 중 1400원대에 들어선 것은 2022년 11월 7일(1413.5원) 이후 약 17개월 만이다.

고환율은 원자재 등의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을 키울 수 있다. 이를 반영하듯 현재 가공식품 등의 물가가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유가 및 고환율 급등세가 지속된다면 정부의 하반기 물가 2% 초중반 안정화도 물 건너 갈 수 있다. 오히려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한 고금리 기조가 심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럴 경우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돼 소비와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고, 이는 정부의 올해 2.2% 경제성장률 달성 목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일각에서는 중동 확전 위기가 더욱 고조되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