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 미래, 일본서 찾자"⋯우리금융경영연구소 '일본 경제 대전환' 출간

(사진제공=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일본 경제 전반을 심층 분석한 도서 '일본 경제 대전환'을 출간했다. 인구구조 변화에 직면한 한국경제에 실질적인 정책적,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일본을 통해 우리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도전의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이다.

18일 우리금융에 따르면 이 책은 1년여에 걸친 연구와 일본 현지 기관 및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고령화 사회를 먼저 경험한 일본의 경제·금융 분야 대응 사례를 심층 분석했다.

책은 총 2부 7장, 302쪽 분량으로 구성됐다. 제1부 '노인의 나라, 그들이 사는 법'에는 고령화가 바꾼 자산관리 패러다임과 꿈틀대는 일본경제, 인구변화가 부른 기업문화 혁신 등을 주제로 인구변화에 따른 자산관리 및 기업문화 변화, 일본 경제 부활의 동인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제2부 '달라진 일본, 멈춰 선 한국'에서는 일본 경제의 핏줄, 금융회사의 화려한 부활, 장기불황을 넘는 기업금융의 힘, 일본이 던진 새 어젠다, 전환금융, 메가뱅크의 디지털 반격 등을 다뤘다.

이 장에서는 글로벌 사업 확대를 통해 부활에 성공한 일본 메가뱅크, 투자중심으로 탈바꿈한 부동산 시장, 전환금융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일본의 움직임을 조명했다.

부록으로는 일본 금융청 전 차관 아먀야 토모코가 지난해 12월 우리금융경영연구소(WFRI) 콘퍼런스에서 ‘과거 30년 간의 일본 경제와 은행의 특징’을 주제로 진행한 기조연설을 덧붙였다.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장은 이날 도서 출간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우리 경제주체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해답을 제시하는 나침반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 책이 한국 경제와 금융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적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금융은 저출생·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시니어 고객 특화 금융상품 및 전용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 ‘시니어 통합 서비스’를 구축 중이다. 특히 동양·ABL생명 인수를 통해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종합금융그룹의 역할도 강화할 계획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고령자·유병자 대상 상품개발과 돌봄·노후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고령층의 사회적 안전망을 보완하고, 보험금 청구권 신탁상품으로 유가족 복지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