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서울·수도권은 중대형 뿐만 아니라 소형 아파트 마저 약세가 이어졌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변동률은 주간 -0.02%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울 재건축시장은 주간 -0.10%의 변동률을 보였다. 신도시와 수도권도 -0.01%의 변동률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서울은 가격 변동을 보인 단지가 많지 않았지만 강남4구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거래 회복 기대감이 없고 기준금리 마저 인상된 가운데 거래비수기, 본격적인 장마까지 시작돼 매수문의는 더욱 줄었다. 지역별로는 강남(-0.05%) 강동(-0.04%) 송파(-0.04%) 강서(-0.04%) 양천(-0.03%) 영등포(-0.03%) 마포(-0.02%) 서초(-0.01%) 등이 하락했다. 나머지 지역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
신도시는 일산(-0.03%) 분당(-0.01%)이 하락했고 산본(0.02%) 평촌(0.01%)은 가격변동이 크지 않은 가운데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도 거래 관망으로 개별 아파트의 가격 변동이 크지 않은 가운데 5월 중순 이후 5주째 과천(-0.06%)의 독주가 이어졌다. 이어 구리(-0.04%) 의왕(-0.03%) 용인(-0.02%) 의정부(-0.02%) 광주(-0.02%) 등이 하락했다. 반면 오산(0.03%) 화성(0.02%) 평택(0.01%) 등은 소폭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일부 국지적인 상승 움직임만 계속됐다.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면서 전세물건을 찾는 수요는 많지 않았다. 주간 서울 0.03%, 신도시 0.04%, 수도권 0.02%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울은 이주와 학군으로 수요가 형성되는 강남, 저렴한 신혼집 마련을 위해 신혼부부 수요가 많은 신도시, 재계약 시점이 도래하는 입주2년차 아파트가 있는 곳 등이 상승세를 나타냈다. 강남(0.14%) 서초(0.04%) 동작(0.04%) 도봉(0.03%) 금천(0.03%) 강동(0.02%) 송파(0.02%) 노원(0.02%) 등이 상승했다.
신도시는 출시된 전세물건이 부족한 가운데 신혼부부, 소형 수요가 꾸준히 형성되면서 오름세를 나타냈다. 산본(0.08%) 일산(0.06%) 중동(0.05%) 분당(0.03%) 평촌(0.02%) 순으로 올랐다.
수도권은 6월 중순 들어 공단 주변, 전세가격 저렴한 곳 위주로 조금씩 전세 수요가 늘고 있지만 가격은 아직 큰 변동이 없다. 지역별로는 시흥(0.06%) 안산(0.05%) 오산(0.04%) 용인(0.03%) 광주(0.03%) 안양(0.03%) 고양(0.03%) 수원(0.03%) 등이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