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금융자율화의 일환으로 시중은행들이 대폭 늘어났지만 IMF경제위기를 맞이하면서 철퇴를 맞게됩니다. 시중의 부실은행들이 우량 은행에 합병되고 시중은행들의 ‘덩치 키우기’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서로간의 인수합병이 순차적으로 일어나게 된 것입니다.
사실 우리나라 은행간 합병은 1976년 서울은행과 한국신탁은행의 합병으로 서울신탁은행이 탄생한 것이 시초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서울신탁은행은 1995년 다시 이름을 서울은행으로 바꾸었습니다. 근 20여년간 ‘은행 합병’이란 없었던 것입니다.
IMF로 은행의 구조조정 필요성이 대두돼 1998년 6월 부실화된 다섯개 은행을 일차적으로 합병하게 됩니다. 사실 합병이라기보다는 부실은행 다섯개를 강제적으로 시장에서 퇴출시키고 우량은행이 인수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당시 퇴출대상 은행의 한 직원은 “자고 일어나니 세상이 변한 느낌이였다. 구조조정 공포에 시달렸다”고 회고하기도 했습니다.
시장에서 퇴출됐던 경기은행, 충청은행, 동화은행, 동남은행, 대동은행은 각각 한미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주택은행에 합병됐습니다. 1999년에는 한일은행이 한빛은행(구 한국상업은행)으로, 보람은행이 하나은행으로 각각 합병됐습니다. 2001년 11월에는 주택은행이 국민은행에, 12월에는 평화은행이 한빛은행에 합병됐습니다. 한빛은행은 2002년 5월 우리은행으로 명칭을 변경했고, 2002년 11월에는 서울은행이 하나은행에 합병됐습니다. 조흥은행은 다시 신한은행에 합병됨으로써 시중은행은 7개 은행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불과 4~5년 사이에 10개가 넘는 은행이 없어졌고 차후에도 살아남았던 은행들도 다시한번 합병을 경험하게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은행 합병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던 것은 IMF라는 특수한 상황도 있었지만 다른 나라와 달리 자발적인 합병보다는 정부주도에 의한 구조조정 성격이 강한 편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부주도의 구조조정은 대규모 정리해고를 불러왔습니다. 2001년 주택은행과 국민은행 합병 이전에만 정리해고를 통해 1만여명에 달하는 은행원들이 직장을 잃어버리는 등 노사갈등 요인이 심해지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