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조 넘는 인수자금 마련이 관건
하나금융, 우리금융 인수 채비 돌입
6조 넘는 인수자금 부담..묘안찾기 골몰
하나금융지주가 우리금융지주 인수전에 뛰어들 방침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주 초 우리금융 지분 매각을 위한 주간사를 선정하는 등 민영화 일정에 돌입, 이에 맞춰 하나금융지주가 가장 먼저 세부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금융, 우리금융 인수 추진= 현재까지 우리금융 인수에 가장 의욕적인 곳은 하나금융지주.
하나금융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등의 기준과 하나금융 주주 가치를 고려해 가장 적합한 인수 방안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하나금융 고위 관계자는 "우리금융 인수에 나서기로 하고 인수 방안 등의 구체적인 계획을 내부적으로 정밀하게 연구하기로 했다"며 "필요하면 외부 컨설팅도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나금융 측은 정부가 발표한 민영화 방안에 포함된 공적자금 최대 회수와 대형화 등의 몇 가지 기준을 고려해 정부가 수용할 수 있으면서 우리주주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볼 방침이다.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이 합치면 자산규모 500조원 이상의 대형 은행이 탄생하게 된다.
한편 KB금융은 당장 인수·합병(M&A)보다 체질 개선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이지만 5조원가량의 실탄을 확보, 자금여력이 가장 넉넉한 편이어서 우리금융 M&A가 보다 현실화하면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
◇우리금융 인수 비책은= 금융지주회사가 우리금융을 인수하는 방안을 찾기는 쉽지가 않을 것이라는 게 금융계 안팎의 중론이다.
현재로서는 6조원이 넘는 인수자금을 충당할 금융지주사가 없는데다, 단순 합병은 정부 지분이 그대로 남아 민영화 취지에도 맞지 않고공적자금 회수도 어렵기 때문.
이에 일단 자금이 부족한 인수자가 사모주식펀드(PEF)를 구성하거나 컨소시엄을 구성해 우리금융 인수에 나서는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금융지주가 PEF를 통해 우리금융을 인수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지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PEF에 대한 출자규모가 금융회사는30% 미만, 산업자본은 18% 미만으로 각각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PEF로 우리금융을 인수해 경영까지 하려면 우호적 투자자를 PEF에 참여시켜야 한다.
또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우리금융 지분을 인수하는 방법도 가능해 보인다. 이 경우 산업자본은 은행지주의 지분을 9%까지 취득할 수 있으며 금융자본은 금융당국 승인 시 최고 33%까지 인수할 수 있다.
또한 지분 매각과 합병을 섞는 방식도 유력한 대안 중 하나로 꼽힌다.
인수자인 다른 금융지주사가 정부가 보유한 우리금융 일부 지분을 인수한 뒤 지주사 간 주식 맞교환으로 대등 합병을 추진하는 것이다.이는 우리금융과 다른 금융지주사가 주식을 맞바꾸는 방법이어서 인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수 주체는 인수자금 부담을 덜고 정부는 일부 지분매각 대금을 챙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합병 후 남는 지분은 가치를 끌어올려 시장에 팔 수 있다. 따라서 인수 희망자 입장에서는 자금 부담이 덜한 이 방법을 선호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