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인지하고도 이를 '의심 정황'으로 축소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9일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KISA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SK텔레콤은 18일 오후 6시 9분에 사내 시스템 데이터의 비정상적인 이동을 최초 인지했다. 이후 같은 날 오후 11시 20분에 악성코드를 발견하고 해킹 사실을 내부적으로 확인했다.
그러나 SKT는 20일 오후 4시경 KISA에 제출한 신고서에 "불상의 해커로 추정되는 자가 사내 장비에 악성코드를 설치해 파일 유출 의심 정황이 파악됐다"고 기재했다. 이에 최수진 의원실은 20일 당시 이미 해킹 공격이 명확했으며, 심지어 개인정보 유출까지도 확인한 상태였으나 신고 접수서에는 의심정황으로 기재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KISA 측의 현황 파악이 지연됐으며, 전문가 파견도 사건 발생 이틀 뒤인 21일 오후 8시에 이뤄졌다.
SKT는 KISA가 제안한 기술지원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지원 서비스, △후속 조치 지원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개인정보 제공 △사이버 위협정보 분석공유 시스템(C-TAS) 개인정보 제공 등이다.
최수진 의원은 "SK텔레콤이 명확하게 해킹과 개인정보 누출을 확인하고도 의심 정황으로 신고하고, KISA 측의 각종 피해지원과 후속 지원을 모두 거부해 국민 피해와 혼란을 키웠다"며 "국회 청문회 등을 통해 가입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원대책 마련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