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美 WSD 기조연설…철강산업 비전 제시

입력 2024-06-19 08:57수정 2024-06-19 14: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차세대 배터리 소재’ 등 핵심 경쟁력 소개
탄소 중립ㆍ친환경 미래사회 비전 공유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 철강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홀딩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초일류 미래기업의 도약을 위한 그룹 경쟁력 확보 전략을 글로벌 무대에서 선보였다.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장 회장은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세계적인 철강 전문 분석기관인 월드 스틸 다이내믹스(WSD)가 개최한 ‘글로벌 스틸 다이내믹스 포럼(Global Steel Dynamics Forum)’에 참석해 ‘초격차 미래 경쟁력을 향한 혁신’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고 19일 밝혔다.

Global Steel Dynamics Forum은 1986년부터 시작된 미주 지역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글로벌 철강 콘퍼런스다. 세계 주요 철강사를 비롯해 설비·엔지니어링, 금융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다. 올해는 로렌코 곤칼베스(Lourenco Goncalves) 클리브랜드 클리프스(Cleveland Cliffs) 회장, 마크 밀레트(Mark Millett) 스틸다이나믹스(Steel Dynamics,Inc.) 회장, 자얀트 아치리아(Jayant Acharya) JSW 회장 등 세계 주요 철강업계 리더 및 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해 철강산업 현안과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장 회장은 산업 대변혁, 미ㆍ중 대립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 인구ㆍ사회구조 변화 등 글로벌 메가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포스코그룹의 혁신 노력을 소개했다. 이와 함께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그리고 조직문화 혁신 방향을 발표했다.

철강 분야는 저탄소 공급체계를 통한 녹색 전환(Green Transformation)과 지능형 공장(Intelligent Factory)으로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추진 계획을 소개했다. 특히,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HyREX’ 상용화를 통해 저탄소 설비 체제를 완성해 2050년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 사람, 인공지능(AI), 그리고 로봇 간 협업을 통한 지능형 자율 제조 프로세스인 지능형 공장을 구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그룹은 녹색 전환(GX)과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통해 초격차 원가경쟁력 확보는 물론 고위험ㆍ고강도 작업을 AIㆍ로봇으로 대체함으로써 안전한 작업 환경 구축을 강화한다.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는 리튬ㆍ니켈 등 원료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원료부터 양·음극재, 차세대 배터리 소재기술 개발까지 풀 밸류체인(Full Value Chain) 완성과 조기 상업화를 위한 흔들림 없는 투자를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장 회장은 “포스코그룹은 친환경 미래사회 구현을 위한 혁신적 소재로 업을 확장하고, 한계를 뛰어넘는 도전정신으로 초일류 미래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는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글로벌 철강산업계가 함께 힘을 모아 탄소 중립 등 당면과제를 함께 극복하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향후 전기차 시장 전망에 대한 필립 엥글린(Philipp Englin) WSD 회장 질문에 장 회장은 “자동차 시장은 결국 전기차로 전환될 것”이라며 “캐즘(Chasmㆍ일시적 수요 정체기)의 시기를 내실을 다지기 위한 기회로 삼아 신규 투자 기회를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