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큐리언트, ‘아드릭세티닙’ 희귀 혈액암 임상 “IND 승인”

입력 2024-06-14 08: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CSF1R 변이 조직구증 환자 대상 연구자 임상

큐리언트(Qurient)는 Axl/Mer/CSF1R 삼중저해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의 희귀 혈액암 대상 연구자 임상시험계획서(IND)가 승인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미국 최대 규모의 종합병원인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이 주관하는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으로, CSF1R 변이를 가진 조직구증(histiocytosis) 환자를 대상으로 아드릭세티닙의 효능을 확인할 예정이다.

조직구증은 희귀 혈액암의 일종으로 진단이 어렵고 예후가 나쁘며, 마땅한 치료 대안이 없어 없다. 메이요 클리닉은 이러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치료 대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었으며, CSF1R을 새로운 표적으로 확인해 CSF1R 저해제를 찾는 과정에서 큐리언트의 아드릭세티닙을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구증은 아드릭세티닙이 저해하는 3가지 인산화효소(Axl, Mer, CSF1R) 중 CSF1R의 활성에 민감한 암종으로, 아드릭세티닙을 단독요법으로 투약 시 효과를 기대한다.

조직구증은 희귀암으로 소규모 환자에게서 약물 효능이 확인되면, 향후 신속심사(accelerated approval)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한다. 큐리언트에 따르면 로슈 제넨텍의 MEK 저해제 ‘코텔릭(Cotellic®, cobimetinib)’는 조직구증 환자 26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허가를 받은 사례가 있다.

조용준 동구바이오제약 대표는 “큐리언트의 면역항암제 아드릭세티닙이 미국 최고의 암 치료 및 연구 병원인 메이요 클리닉의 선택을 받은 것은 기술의 객관적 검증에 있어 의미가 있다고 본다”며 “현재 미국 머크(MSD)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진행성 고형암 글로벌 임상1b/2상 임상시험과 더불어 희귀 혈액암 임상 승인을 받게 됐으며, 동구바이오제약은 큐리언트의 신약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구바이오제약은 지난 5월 투자를 통해 큐리언트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초기 신약개발 역량을 쌓을 수 있게 됐다. 이후 조용준 대표를 비롯 동구바이오제약의 임원이 큐리언트 이사회에 합류하여 양사간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