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동아 뉴로보, ‘GPR119 작용제’ MASH 전임상 “EASL 발표”

입력 2024-05-24 10: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EASL 2024] ‘DA-1241’+GLP-1 병용요법 인비보서 염증·섬유화 개선, ‘간성상세포 저해’로 섬유화 억제 MoA 확인

동아에스티(Dong-A ST)와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오는 6월5일부터 8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유럽간학회(EASL 2024)에서 대사이상관련지방간염(MASH) 치료제 후보물질 ‘DA-1241’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EASL은 유럽을 대표하는 간 관련 학회로 유럽과 전세계 전문가들이 모여 간질환 치료의 최신 동향과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동아에스티와 뉴로보는 이번 학회에서 GPR119 작용제(agonist)인 DA-1241과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의 병용요법으로, MASH의 병인과 질병의 진행 정도가 다른 2가지 마우스모델에서 확인한 비임상 유효성 결과를 2건의 포스터로 발표한다.

DA-1241은 GPR119를 활성화시키는 합성신약으로 1일1회 경구투여한다. 동물실험결과에서 혈당 및 지질개선 작용과 더불어 간에 직접 작용해서 염증 및 섬유화를 개선하는 것이 확인되어 MASH 적응증으로 임상2상 개발을 진행중이다.

이번 전임상 결과, 대사 이상이 있는 식이 유발 MASH 마우스모델에서 8주간 DA-1241과 세마글루타이드를 함께 투여받은 마우스는 모두 지방간 활성도 점수(NAFLD activity score, NAS)가 1점 이상 개선됐으며, 80% 이상의 개체에서 2점 이상의 개선효과를 보이는 효능을 나타냈다. 이는 세마글루타이드에 의한 체중감소 효과에 DA-1241의 대사개선 및 항염증 효과가 더해진 결과로 회사는 해석하고 있다.

또한 간조직 유전체 분석을 통해 염증, 섬유화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역시 두 약물의 병용투여에 의해 더욱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

뉴로보는 간 섬유화 모델에서도 DA-1241과 세마글루타이드의 병용효과를 확인했다. 간 섬유화 마우스모델에서 DA-1241은 체중 감소를 유도하지 않았음에도 간 섬유화를 유의적으로 개선시켰으며, 체중감소를 유도하는 세마글루타이드와 병용시에는 추가적인 체중 변화는 없었지만 각 약물의 단독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섬유화 개선 효능을 나타냈다.

이러한 병용 효과는 마우스 간조직에서 분석한 염증 및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에서도 나타났다. 특히 간 섬유화 마우스에서 감소되어 있던 섬유화 억제인자의 발현이 DA-1241과 세마글루타이드 병용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사람의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 HSC)에 DA-1241을 단독 처리한 경우에도 섬유화 억제인자의 발현이 증가하고, 간성상세포 활성 억제를 통해 간에 작용하여 섬유화를 억제하는 DA-1241의 주요 작용기전(MoA)을 제시했다.

뉴로보는 DA-1241의 글로벌 임상2상 파트1, 파트2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에 완료할 예정이다.

김형헌 뉴로보 대표는 “이번 데이터는 DA-1241과 세마글루타이드 병용시 간 섬유화 및 염증상승 억제 효과에 대한 GPR119 와 GLP-1 기반 약물의 병용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DA-1241의 글로벌 임상2상 결과를 올해 말에 발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나스닥 상장사로 DA-1241과 DA-1726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는 동아쏘시오그룹의 글로벌 R&D 전진기지다. 뉴로보는 GLP1R/GCGR 이중작용제(dual agonist)인 ‘DA-1726’의 비만 글로벌 임상1상도 진행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