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1위…시장 줄어도 한국 3사는 '약진'

입력 2020-08-03 13:12수정 2020-08-03 18: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시장 규모 전년 대비 23%↓…중국 CATL·일본 파나소닉 역성장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올해 상반기 LG화학이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1위 사업자로 올라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세계 시장이 작년보다 20% 이상 축소한 가운데서도 LG화학을 비롯해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3일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6월 세계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42.6GWh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0% 감소했다. 주요 시장인 중국, 미국 시장의 경기 침체가 지속하면서 전기차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국, 일본 등 대부분의 배터리 업체들은 사용량 점유율이 감소했지만, 한국 3사 배터리 사용량은 증가했다.

LG화학은 6월까지 누적 점유율이 24.6%(사용량 10.5GWh)로 반기 기준 1위에 처음으로 올라섰다.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사용량은 82.8% 증가했고 순위는 4위에서 1위로 수직으로 상승했다. 누적점유율에서 LG화학은 4월에 1위로 올라선 뒤 3개월 연속 1위를 이어갔다.

다만 6월 월 단위 사용량에서는 중국 CATL이 1위를 차지했다.

삼성SDI는 6월까지 누적 점유율 6.0%(사용량 2.6GWh)로 작년 동기보다 사용량은 34.9% 늘고 순위는 한 계단 올라 4위가 됐다.

SK이노베이션은 누적 점유율 3.9%(사용량 1.7GWh)로 작년 동기보다 66.0% 증가하고 순위도 세 계단 상승해 6위에 자리했다.

중국 CATL은 23.5%(사용량 10.0GWh), 일본 파나소닉은 20.4%(8.7GWh)로 각각 2위, 3위를 차지했으나 배터리 사용량은 크게 감소했다. 해외 업체 중에서는 유일하게 중국 CALB만 사용량이 증가했다.

6월 한 달로 한정해도 한국 3사와 CALB만 두 자릿수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같이 한국 배터리 기업만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이유는 각사 배터리를 탑재한 자동차 판매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LG화학은 주로 테슬라 모델3(중국산), 르노 조에, 아우디 E-트론 EV(95kWh) 등의 판매 호조로 성장세가 이어졌다.

삼성SDI는 아우디 E-트론 EV(71kWh), BMW 330e, 폭스바겐 e-골프 등이, SK이노베이션은 현대 포터2 일렉트릭과 기아 봉고 1T EV, 소울 부스터 등의 판매 증가로 성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