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성조숙증 환자는 약 10만 3000명으로 최근 5년간 42% 증가했고 그중 남아보다 여아 증가율이 높았다. 실제로 최근 아이를 키우면서 ‘성조숙증’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는 집이 드물어졌다.
일반적으로 성조숙증은 만 10세 전후(초등학교 4~5학년)에 나타나게 되는데, 이보다 약 2년 내외로 일찍 성숙하는 것을 말한다. ‘이른 사춘기’라고도 말하는데, 이에 대해 서정한의원 원장은 질병의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빠른 사춘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인 것. 해당 질환은 보통 여아는 만 8세 이전, 남아는 경우 만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날 때 의심할 수 있으며, 엄마들이 성조숙증을 걱정하는 이유는 아이들의 키 성장이 빨리 멈추는 것이다. 실제로 성조숙증은 성장이 빠른 만큼 성인이 되었을 때 최종 키가 작아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뿐만 아니라 증상이 나타났을 때 치료받지 않을 경우 성장판이 또래보다 일찍 닫히거나 난소와 유방 종양 발생률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이미 성장판이 닫힌 후라면 성장판이 닫혀도 키가 클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자녀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체중이 증가해 지방세포가 충분할수록 2차 성징 관련 호르몬이 더 많이 분비될 수 있다. 하지만 꼭 비만이 아니더라도 환경호르몬이나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성장호르몬 불균형도 성조숙증을 초래할 수 있어 아이들의 생활습관과 건강한 먹거리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하다.
서정한의원 원장은 “소아 성조숙증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안색과 윤기, 피부, 눈, 혀, 몸 상태 등을 살펴보고 성장판 검사 및 인바디 검사를 진행해야”한다면서, “문진을 통해 생활습관과 주변환경 등을 파악하고 손가락과 손으로 아이의 신체를 짚거나 눌러보면서 현재 몸의 상태를 살펴보게 된다. 이후 침으로 신체순환 및 건강한 성장을 돕고 한약을 처방해 증상 완화를 돕는다”라고 전했다.
이어 “성조숙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는 올바른 음식섭취가 있다. 인스턴트 음식은 가급적 먹이지 않는 것이 좋으며, 여자아이의 경우 콩이 여성호르몬 분비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남학생의 경우 장어나 추어탕, 잉어즙 등 스테미나 식과 고단백식은 남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