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제2의 성장, 딥테크에 있어”…중기부,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 본격화 [종합]

입력 2024-05-20 16: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오 장관, 초격차 스타트업 위한 세가지 정책 방향 제시
맞춤형 지원, 대기업과 개방형 혁신, 글로벌화 등 추진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0일 대전 소재 우주·항공 분야 초격차 스타트업 선정 기업 (주)컨텍에서 열린 '초격차 스타트업 현판식 및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중기부)

“국제 사회가 급변하면서 국가 간 기술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제2의 성장의 먹거리는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딥테크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0일 우주항공 분야 초격차 스타트업으로 선정된 컨텍(대전 소재)에서 ‘신규 초격차 스타트업 현판식 및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오 장관은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선정된 스타트업 대표들과 만나 우주항공·해양, 인공지능(AI), 양자기술 등 5개 분야 신규 초격차 스타트업의 현장 목소리를 경청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정책에 반영하고, 향후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방안 등을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오 장관은 초격차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맞춤형 지원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등 세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오 장관은 “첫 번째로 맞춤형 지원을 통해 선정한 기업들이 밸류체인(가치사슬)에 있는지 보고, 성과를 어떻게 이뤄낼 것인지도 파악해 도울 것”이라고 했다. 이어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매칭 프로그램을 고안 중이라면서 “스타트업들은 대기업과의 협업이 중요한데, 분야별로 매칭하는 오픈이노베이션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글로벌 시장 진출과 관련해서는 “스타트업들이 해외 진출을 위해 해외 법인을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2025년엔 해외 진출을 돕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올해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지원 대상으로 232개 기업을 추가로 선정했다. 초격차 프로젝트는 시스템반도체, AI 등 10대 신산업 분야에서 국가 경제의 미래를 이끌어갈 딥테크(선도기술) 스타트업 1000개 이상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민관 합동으로 2조 원을 투입하는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275개 스타트업을 선정하기도 했다.

우선 바이오·헬스 37개, AIㆍ빅데이터 35개, 로봇 32개, 친환경ㆍ에너지 30개, 사이버보안ㆍ네트워크 21개, 시스템반도체 20개, 미래모빌리티 20개, 우주항공ㆍ해양 12개, 차세대원전 5개, 양자기술 5개 등 217개가 일반공모, 민간검증, 부처 추천 등을 통해 신규 선정됐다.

선정된 기업들은 앞으로 3년간 최대 6억 원의 사업화 자금과 기업 수요에 따라 별도 평가를 거쳐 최대 5억 원의 연구개발(R&D) 자금 등 총 11억 원의 자금을 지원 받는다. 정책자금ㆍ보증ㆍ수출 등도 연계해 지원 받는다.

간담회에서는 스타트업 대표들의 해외 진출 관련 애로사항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중기부는 다수 스타트업들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는데, 우리는 우주발사체 스타트업인 만큼 스타트업들 중에서도 많은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런 기업 특성을 고려한 집중적인 투자 지원 제도도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스타트업 대표들은 정책 금융 지원, 해외 IP보호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이 더 마련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오 장관은 “오늘 간담회에서 AI, 우주ㆍ항공 등 신산업 분야의 딥테크 스타트업이 우리나라의 경제를 책임질 수 있는 신성장동력인 걸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중기부는 우리나라 딥테크 스타트업이 초격차 프로젝트 참여를 계기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