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진입한 대한민국, 생산가능인구 ‘첫 감소’

입력 2018-08-2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령인구 비율 13.6%→14.2%…"일본은 24년, 우리나라 17년 걸려"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1995~2017년).(자료=통계청)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도 유엔이 정한 고령사회 기준인 14%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인구(외국인 포함)는 5142만 명으로 전년 대비 15만 명(0.3%) 증가했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인구는 2552만 명으로 13만 명(0.5%) 늘며 전체 인구의 49.6%를 차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전체 인구의 25.0%(1285만 명)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2016년 3631만 명에서 3620만 명으로 처음으로 감소했다. 내국인의 중위연령은 42.4세로 0.6세 증가했다.

특히 고령인구 비율이 13.6%에서 14.2%로 상승했다. 유엔은 고령인구 비율 7% 이상을 고령화 사회, 14% 이상을 고령사회, 20% 이상을 초고령사회로 본다. 시·도별로는 세종시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고령인구 비율이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95~99세가 15.3%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100세 이상(12.1%), 85~80세(8.7%)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의 고령사회 진입 속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 빠른 수준이다. 양동희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우리나라는 2000년 7.3%에서 2017년 14.2%로 17년 만에 고령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섰는데, 일본은 1970년에서 1994년까지 24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노령화지수(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도 2016년 100.1에서 지난해 107.3으로 7.2포인트(P) 상승했다. 2000년 35.0에 불과했던 노령화지수는 저출산에 따른 유소년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매년 상승 중이다. 지난해 고령인구는 711만 명으로 유소년인구(663만 명)보다 48만 명 많았다.

우니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가구 통계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일반 가구의 가구원 수 규모별로 1인 가구 비중이 27.9%에서 28.6%로 0.7%P 상승했는데, 60대 1인 가구가 전년 대비 7만 가구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가구주의 중위연령도 51.7세로 0.4세 높아졌다.

일반 가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521만 가구로 전체의 26.5%를 차지했다. 이는 2016년과 비교해 19만 가구(0.6%P) 증가한 규모다. 고령자만으로 이뤄진 가구는 240만 가구(12.2%)로 15만 가구(0.6%P), 고령자 1인 가구는 137만 가구(7.0%)로 8만 가구(0.3%P) 증가했다.

한편 국내 외국인은 148만 명으로 7만 명 늘며 총 인구의 2.9%를 차지했다. 국적별로는 중국계 외국인이 전체의 49.0%(73만 명)을 차지했다. 전년과 비교해서는 베트남(1만4000명↑), 중국(1만 명↑) 국적 외국인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50만 명(33.6%)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23만 명, 23.3%), 경남(9만 명, 6.2%)이 뒤를 이었다. 2016년과 비교하면 제주(16.7%↑), 인천(10.2%↑), 광주(9.9%↑)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