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 ‘2050년 탄소중립’ 친환경 전략 추진

입력 2024-01-31 09:43수정 2024-01-31 11: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온실가스ㆍ수자원ㆍ플라스틱 감축 중장기 로드맵 수립

▲풀무원은 전국의 제조 사업장과 물류센터에 단기적으로는 태양광 발전, 중장기적으로는 수소 에너지를 활용할 계획이다. (사진제공=풀무원)

31일 풀무원은 창사 40주년을 맞아 기존 친환경(Eco-Friendly) 전략에서 실천적 의미를 강조한 친환경 케어(Eco-Caring) 전략을 선언했다.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넷 제로(Net Zero·탄소중립)와 생물 다양성 보존을 중심으로 한 네이처 포지티브(Nature Positive)를 추진해 기후 위기와 생물 다양성 위기 대응에 앞장선다.

풀무원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2년 대비 20% 감축하고,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수자원’, ‘플라스틱’ 감축에 대한 중장기 목표와 로드맵을 수립했다.

우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효율 개선과 친환경 차량 도입 방안을 추진한다. 전국 제조 사업장과 물류센터에는 태양광 발전을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수소 에너지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제품 생산 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에너지로 자원화하는 사업을 검토하고, 각 제품에 대해 탄소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 스마트팜 시범 사업을 통해 저탄소 콩, 샐러드, 마른 김 양산 체제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풀무원은 이번 전략에서 2035년까지 수자원 이용량을 2022년 대비 13% 줄이고 플라스틱 사용량을 20% 감축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바이오 플라스틱,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포장 등과 관련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