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vs 외부”…포스코 회장 후보 공개 임박

입력 2024-01-29 14: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포스코 차기 회장에 관심 집중
3월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출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전경. (사진제공=포스코홀딩스)

포스코 차기 회장 후보 ‘파이널리스트’ 공개를 앞두고 세평이 무성하다. 안팎에선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장인화 전 포스코 사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29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 최고경영자(CEO) 후보추천위원회는 후보군 ‘숏리스트’ 중 최종 후보 5명 안팎의 명단을 추리고 있다. 후보자 대면 심사를 통해 내달 중 1인을 최종 회장 후보로 선정하고 3월 주주총회에 올린다.

후추위는 앞서 24일 7차 회의에서 ‘숏리스트’로 총 12명(내부 5명, 외부 7명)을 선정했다. CEO후보추천자문단은 후추위로부터 받은 ‘롱리스트’ 후보 전원의 자기 소개서와 평판 조회서 등을 토대로 후보군을 압축했다.

숏리스트 명단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외부 기업인뿐 아니라 전ㆍ현직 포스코 출신 인사 등 다양한 인물들이 거론되고 있다.

외부 출신 후보로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윤상직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유력 후보로 언급된다. 비(非) 철강인 출신인 최정우 회장이 기업 시가총액을 3배가량 끌어올린 만큼 ‘순혈주의’ 문화를 타파하고 외부 인사가 영입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포스코 출신 후보로는 장인화 전 포스코 사장,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 등이 거론된다. 업계에서는 철강산업은 자동차ㆍ조선ㆍ건설 등에 필수인 기간 산업인데다, 포스코그룹 실적의 65%가 철강에서 나오는 만큼 내부 전문가가 더욱 적합하다고 입을 모은다. 포스코가 글로벌 친환경 소재 기업으로 우뚝 설 수 있었던 배경은 철강산업을 잘 이해하는 포스코맨 출신의 사장단이 업황 부진에 대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위기에 대비했기 때문이다.

박희재 후추위원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인 포스코그룹의 차기 회장 후보 선출이 공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회사, 주주 및 이해관계자, 나아가 국민의 기대에 충실히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