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벼 재배면적 줄었지만…과잉 생산 우려는 여전

입력 2023-09-01 10: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재배면적 전년 대비 3.1%↓…생산량 14~15만 톤 과잉 전망

올해 벼 재배면적이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지만 과잉 생산은 여전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벼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벼 재배면적은 70만8041㏊로 지난해 72만7054㏊에서 2.6%, 1만9013㏊가 줄었다. 감소폭은 2017년 3.1%가 줄어든 이후 가장 크고 지난해 0.7%가 줄어든 것과 비교해도 큰 폭으로 줄었다.

통계청은 전략작물직불제와 논 타작물재배 지원사업 등 정부의 쌀 적정 생산 대책 효과로 벼 재배면적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 목표로 했던 재배면적 69만㏊보다는 여전히 많다. 농식품부는 벼 재배면적을 줄여 올해 쌀 생산량을 352만 톤에 맞춘다는 방침이었다.

재배면적이 목표치를 웃돌면서 올해도 쌀 과잉 생산이 우려된다. 평년 단수인 10a당 518㎏을 예상 재배면적에 대입하면 올해 쌀 생산량은 366만7652톤으로 예상 수요량 352만 톤 대비 14~15만 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벼 작황은 평년작 수준으로 예상되지만 수확기까지 지켜봐야 한다"며 "올해 가공용 쌀 수요가 많이 늘어 수요량도 늘어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지역별로 재배면적 감소율은 전북이 5.6%로 가장 컸고, 이어 전남 3.1%, 충북(2.5%), 충남(1.7%)이 뒤를 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