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쌀·밀·콩·조사료 재배하면 지원금…전략작물직불제 본격 시행

입력 2023-01-25 16: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1121억 원 지원…3월까지 접수, 12월 직불금 지급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이 전북 익산 가루쌀 수확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논에 쌀 대신 가루쌀과 밀, 콩 등 작물을 재배하면 지원금을 주는 전략작물직불제가 올해부터 시행된다. 직불금은 3월까지 접수를 받고 12월에 지급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식량안보 강화와 쌀 수급안정 등을 위해 '전략작물직불제'를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전략작물은 밀, 콩, 가루쌀 등 수입 의존성이 높거나 논에서 밥쌀용 벼 재배를 대체할 수 있어 논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작물이다. 농식품부는 기본형공익직불금에 더해 논에서 밀, 논콩, 가루쌀 등 전략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농업법인에 총 1121억 원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전략작물직불제를 통해 밀과 콩 등 수입에 의존하는 작물의 국내 생산을 확대하고 구조적 생산과잉인 발쌀용 벼 재배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품목별로 겨울철에 식량작물이나 조사료를 재배하면 ha당 직불금 50만 원을 주고 여름철에 논콩, 가루쌀을 재배할 경우 100만 원, 조사료의 경우 430만 원을 지급한다. 겨울철에 밀·조사료를, 여름철에 논콩·가루쌀을 이모작하면 10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전략작물직불금을 받으려는 농업인과 농업법인 등은 농지 소재지가 있는 읍·면·동사무소에 내달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전략작물직불금 지급대상자로 등록되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두 차례 이행 점검을 한 뒤 12월 직불금을 준다.

전한형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전략작물직불제를 통해 식량자급률을 상승세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논에서 밀, 콩, 가루쌀 등의 재배가 확대되면 수입 의존성이 큰 농산물이 국산으로 대체되고 농가 소득도 향상시키는 일석다조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전략작물직불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식품부 홈페이지와 농림사업정보시스템에서 볼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