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 가사 도우미부터 바리스타까지…로봇, 실생활에 성큼

입력 2022-04-18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업계, 로봇 신기술 각축전

삼성 AI 아바타ㆍ가사보조 로봇 등
LG, 방역봇ㆍ바리스타봇 잇단 개발
현대차, 미 로봇업체 인수 사업속도
2030년 서비스용 로봇시장 98조
"실증특례 확대 등 정부 지원 시급"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로봇 시장이 팽창하고 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등 주요 대기업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신기술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외에서 뚜렷한 선두 그룹이 없는 만큼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다.

산업용 축소 서비스 로봇 시장 확대

17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로봇산업 4대 분야(제조업용, 전문서비스용, 개인서비스용, 부품 및 소프트웨어) 업체 수는 2427개사로 전년 2235개사 대비 8.6% 늘었다. 이들 기업의 매출액은 5조4736억 원으로, 2019년 5조3351억 원 대비 2.6%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출하액은 5조3223억 원으로 내수와 수출의 비중이 약 4대 1로 나뉜다.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되는 서비스용 로봇의 업체 수는 2019년 350개에서 2020년 458개로 30% 증가했다. 종사자 수도 5125명에서 5643명으로 518명 늘었다. 같은 기간 제조업용 로봇,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업체의 종사자 수는 모두 줄었다.

매출도 서비스용 로봇 부문만 상승했다. 제조업용 로봇이 2조9443억 원(2019년)에서 2조8658억 원(2020년)으로 줄어든 반면 서비스용 로봇은 6358억 원에서 8577억 원으로 34% 늘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서비스 로봇 세계 시장 규모가 2025년 이후 산업용 로봇 시장을 넘어서고, 2030년엔 800억 달러(98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새로운 고객 가치 창출 주력

최근 로봇 시장 흐름은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국내에선 삼성과 현대차, LG가 선두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해외에선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테슬라 등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은 로봇 기술의 무한 확장성에 주목하고 있다. 단순한 명령 수행을 넘어 인간의 신체와 유사한 모습과 지능을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팀을 로봇사업팀으로 개편하면서 인력을 대거 확충했다.

올해 초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에서 인공지능(AI) 아바타와 인터랙션 로봇 ‘삼성 봇 아이’와 가사보조 로봇 ‘삼성 봇 핸디’를 선보였다. 웨어러블(입는) 보행보조 로봇 젬스(GEMS)는 상반기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로보틱스가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현대차가 인수한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인 스팟(Spot)은 각종 센서, 카메라 등을 탑재해 극한의 상황이나 자연재해 지역, 방사능 오염지역 등 인간이 접근하기 힘든 위험한 곳에서도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 신속한 물류 처리를 위한 물류형 로봇 스트레치(Stretch) 등도 눈길을 끈다.

LG전자는 로봇을 미래사업의 한 축으로 삼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로봇에 초점을 맞춰 호텔, 병원, F&B(식음료) 등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2017년 인천공항에서 LG 클로이 가이드봇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LG 클로이 UV-C봇, LG 클로이 서브봇, LG 클로이 바리스타봇 등을 지속 선보였다. 2020년부터는 BS사업본부의 글로벌 영업 인프라와 역량을 활용해 로봇사업을 가속화하고 있다.

실증특례 확대 등 정부 정책 뒷받침돼야

정부는 각종 규제가 로봇 시장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제도 개선에는 더딘 모습이다.

정부는 현재 로봇산업 규제 혁신을 위한 의견 수렴 중이다. 연말까지 상세 실행 계획을 마련해 ‘로봇산업 규제 혁신 로드맵 2.0’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로봇 활용 영역별 소관 부처가 각각 달라 협의를 거쳐야 하고, 규제 혁신도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점진적으로 이뤄지는 만큼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 초기에 다양한 실증경험이 중요한데 규제에 막혀 이마저도 힘든 경우가 많다”며 “일시적으로 시장 진출을 허용하거나 검증 기간 규제를 면제해 주는 실증특례를 더욱 확대하는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