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나이티드제약 “천연물 유래 항암제 신약, 미국 기술이전 논의 중”

입력 2020-12-22 14: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최근 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은 천연물 유래 항암제 신약 PLK-1(Polo-Like Kinase-1) 저해제의 미국 기술이전을 추진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회사는 2017년 PLK-1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특허기술을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이전 받았다. 용도는 호르몬 저항성 종양 또는 항암제 저항성 종양 예방 및 치료, 타목시펜 저항성 유방암 표적 치료용이다.

보건복지부 국책과제인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비임상시험을 완료했으며,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상 IND 승인을 받아 곧 임상시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 관계자는 “지금까지 다수의 해외 특허를 출원했으며, 현재 미국의 유명 항암제 전문 제약사와 기술이전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PLK-1 저해 활성 물질은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PLK 종류 중 하나인 PLK-1은 증식 중인 성체 조직과 분열 중인 세포에서만 발현되는 키나아제 단백질이다. 암 조직에서 PLK-1의 높은 발현 양은 암의 증식뿐만 아니라, 전이, 악성화와도 관련이 있어 PLK-1 저해를 통한 암 치료제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유방암은 2018년 전 세계 암 발생률 기준 12.3%로 폐암과 공동 1위를 기록하는 등 신생 환자의 비율이 높다. 악성종양 요양급여비용 지출액(국내기준)을 살펴보면 유방암 지출액은 2019년 1분기 879억 원에서 2020년 1분기 1062억 원으로 증가했다. 1년 사이 20.8% 올랐고, 2020년 악성종양 요양급여비용 지출 중 세 번째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 관계자는 “유방암 의료비용 지출 증가는 국가 재정에도 많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PLK-1 저해 활성 물질은 특히 치료가 어려운 호르몬 저항성 유방암의 진행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세대 유방암 치료제로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