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이대론 못 만나” 판 엎은 트럼프… 날벼락 맞은 경협주

입력 2018-05-25 11: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건설·시멘트 등 경협주 ‘패닉’…단기 조정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예정이던 북미정상회담을 24일(현지시간) 전격 취소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가 다시 ‘시계 제로’ 상태로 접어들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됐다. 국내 증시 역시 대북 테마주 등을 중심으로 폭락하며 장 초반 크게 요동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싱가포르 회담 취소를 통보하고, 최근 북한이 보여준 분노와 적대감이 취소 결정의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공개서한 발표 후 기자들에게 “북한의 어리석고 무모한 행위가 있을 경우 미군은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전 세계 투자자들은 한반도 정세가 긴박해질 것이라는 불안에 긴장이 역력한 상태다. 하지만 트럼프가 여전히 대북 협상에 일말의 여지를 남기면서 뉴욕증시는 장 후반 낙폭을 대폭 줄여 주목된다.

이날 뉴욕증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3%, S&P500지수는 0.2% 각각 하락했다. 나스닥지수는 0.02% 하락해 약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한반도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수요가 커지면서 일본 엔화는 강세를 보였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달러·엔 환율은 전날의 110.08엔에서 이날 108.96엔까지 떨어지면서 2주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또 다른 안전자산인 스위스 프랑화는 달러화에 대해 3주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ICE 달러인덱스는 0.18% 하락했다.

당사자 격인 우리나라 증시의 충격은 더 컸다. 국내 증시는 대북 테마주가 장 초반 일제히 폭락하면서 코스피·코스닥지수도 출렁였다.

25일 오전 9시 10분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현대건설은 전날보다 12.30% 급락한 5만9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대건설은 유일하게 대북 공사 경험이 있어 대표적 남북경제 협력 수혜주로 꼽히는 종목이다. 현대건설우(-23.02%)는 낙폭이 더욱 크다. 금강산 관광 관련주인 현대엘리베이터는 17.03%, 남북 철도 연결 관련주 현대로템은 19.77% 각각 하락했다.

시멘트주도 장 초반 줄줄이 폭락했다. 현대시멘트(-23.42%), 고려시멘트(-21.40%), 성신양회(-20.66%) 등이 20% 이상 떨어졌다. 삼표시멘트(-18.41%), 쌍용양회(-13.50%), 한일시멘트(-7.10%) 등도 일제히 하락했다.

이들은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에 이어 북미정상회담까지 확정되면서 테마주를 형성, 가파르게 급등했던 종목이다. 그러나 남북관계 회복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상승분을 반납하는 모습이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코스피·코스닥지수도 뒷걸음질쳤다.

코스피지수는 13.21포인트(-0.54%) 하락한 2452.80으로 개장한 뒤, 한때 2440선까지 후퇴하는 등 크게 흔들리며 시작했다. 코스닥지수 역시 7.12포인트(-0.82%) 떨어진 866.20으로 장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낙폭을 만회하면서 오전 10시 54분 현재 코스피는 6.38포인트(-0.26%) 떨어진 2459.63으로. 코스닥은 5.19포인트(-0.59%) 하락한 868.13으로 만회하는 모습이다.

국내 증권가는 북미정상회담 취소에 대해 완전 결렬보다는 협상의 연장선으로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북미 관계를 협상 전으로 되돌리기보다는 비핵화에 대한 전향적 태도를 보이라는 압박에 가깝고, 북한이 대화에 나선 배경(대북 제제에 따른 외화 고갈)을 고려하면 북미 관계가 과거로 돌아갈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다.

김영환 KB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소통의 채널로 인터뷰나 트위터가 아닌 ‘공개서한’을 선택했다”면서 “표현 역시 원색적이지 않은 외교적 수사로 가득한데, 이는 북한을 정상 국가로 대우할 의지가 있다는 유화적 제스처를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에 단기 충격은 불가피하겠지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방향성은 유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과 외국인 수급 이탈이라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